정책 실종·흥행 저조 비판 쏟아져
대통합민주신당 예비경선(컷오프)이 5일 마무리되면서, 지난달 21일 선거인단 모집으로 시작된 국민경선 1회전이 막을 내렸다.
평가는 싸늘하다. 경선 초반부터 동원 선거, ‘유령 선거인단’ 모집 의혹 등이 제기돼 오충일 대표가 대국민 사과를 하는 상황까지 연출된데다, 예비경선 국민선거인단 여론조사에서 무효 응답이 절반이 넘는 등 흥행 성적도 변변치 못했다. 9명의 후보가 난립하는 상황에서 심도있는 정책 경쟁이나 비전 제시, 후보 검증 작업이 실종됐다는 비판도 나온다.
통합신당 국민경선위원회는 예비경선 때 벌인 국민선거인단 1만명 전화 여론조사에서 최종 유효 응답자가 4714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무효 응답으로 처리된 비율이 무려 53%에 이르렀다.
특히 전화 통화에 성공한 7201명 가운데 1834명은 후보 1명만 선택하거나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해 무효로 처리됐다. 선거인단으로 신청한 사람이 “지지 후보가 없다”고 밝히는 황당한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동원된 선거인단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영남지역 선거인단에서 이런 응답 비율이 높았다고 한다.
전화 통화에 실패한 경우도 2799건이나 됐다. 이 가운데 933건은 결번, 전화기 사용 정지 등의 이유였다. 유령 선거인단 의혹 제기 이후 국민경선위원회가 ‘본인 전수조사’를 했지만, 유령 선거인단을 완전히 걸러내지는 못했다는 얘기다.
이목희 국민경선위원회 집행위원장은 “문서로 신청한 선거인단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번호 없음’을 다 걸러내지 못했다. 결번의 대부분은 지역번호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그동안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불거진 동원 선거, 유령 선거 의혹이 예비경선 과정에서 ‘현실’로 드러나면서, 앞으로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국민선거인단 무효응답 절반 넘어…‘유령선거’ 논란 계속될 듯 전화 통화에 실패한 경우도 2799건이나 됐다. 이 가운데 933건은 결번, 전화기 사용 정지 등의 이유였다. 유령 선거인단 의혹 제기 이후 국민경선위원회가 ‘본인 전수조사’를 실시했지만, 유령 선거인단을 완전히 걸러내지 못했다는 얘기다. 이목희 국민경선위원회 집행위원장은 “문서로 신청한 선거인단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번호 없음’을 다 걸러내지 못했다. 결번의 대부분은 지역번호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그동안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불거진 동원 선거, 유령 선거 의혹이 예비경선 과정에서 ‘현실’로 드러나면서, 앞으로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낮은 투표율로 이어져 흥행과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특히 예비경선 과정의 낮은 응답률은, 본경선의 핵심 쟁점인 일반국민 여론조사 반영 여부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 실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손학규 후보 쪽은 당장 여론조사 문제를 양보할 수 없다고 치고 나왔다. 김부겸 선대본부 부본부장은 “국민경선이 조직 동원형 경선방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본경선에서는) 전 국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후보 쪽의 정기남 공보실장은 “4일 저녁에 손학규 후보 쪽에서 여론조사 결과가 미심쩍다며 샘플 재조사를 요구해 여론조사 대상자 15명에게 다시 응답 내용을 재확인하는 일이 있었다”며 “여론조사 결과를 못 믿겠다는 후보 쪽이 어떻게 여론조사 반영을 주장하냐”고 주장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국민선거인단 무효응답 절반 넘어…‘유령선거’ 논란 계속될 듯 전화 통화에 실패한 경우도 2799건이나 됐다. 이 가운데 933건은 결번, 전화기 사용 정지 등의 이유였다. 유령 선거인단 의혹 제기 이후 국민경선위원회가 ‘본인 전수조사’를 실시했지만, 유령 선거인단을 완전히 걸러내지 못했다는 얘기다. 이목희 국민경선위원회 집행위원장은 “문서로 신청한 선거인단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번호 없음’을 다 걸러내지 못했다. 결번의 대부분은 지역번호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그동안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불거진 동원 선거, 유령 선거 의혹이 예비경선 과정에서 ‘현실’로 드러나면서, 앞으로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낮은 투표율로 이어져 흥행과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특히 예비경선 과정의 낮은 응답률은, 본경선의 핵심 쟁점인 일반국민 여론조사 반영 여부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 실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손학규 후보 쪽은 당장 여론조사 문제를 양보할 수 없다고 치고 나왔다. 김부겸 선대본부 부본부장은 “국민경선이 조직 동원형 경선방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본경선에서는) 전 국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후보 쪽의 정기남 공보실장은 “4일 저녁에 손학규 후보 쪽에서 여론조사 결과가 미심쩍다며 샘플 재조사를 요구해 여론조사 대상자 15명에게 다시 응답 내용을 재확인하는 일이 있었다”며 “여론조사 결과를 못 믿겠다는 후보 쪽이 어떻게 여론조사 반영을 주장하냐”고 주장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