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서 밀리면 역전 못해”
대통합민주신당 국민경선 일정 변경 논란의 뿌리는 6일로 잡혀 있던 전북 경선에 대한 손학규, 이해찬 후보의 두려움이었다.
원래대로 경선이 치러지면 선거인단 규모와 표의 결집도 등을 고려할 때 정 후보가 전북에서 몰표를 얻어 다른 두 후보와 표 차를 더욱 벌릴 것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었다. 정 후보는 전북 경선에서 다른 후보들을 멀찌감치 따돌릴 수 있지만 다른 후보들은 만회할 기회를 영영 놓치게 됐던 것이다. 전북 경선이 일괄 경선(원샷 경선) 논란의 핵심이었던 셈이다.
합의된 경선규칙에 지역별 편차 보정이 빠진 것이 문제의 발단이었다. 애초 경선규칙에는 각 지역별 인구비례로 표를 환산하자는 보정안이 있었으나, 후보 대리인들의 논의 과정에서 이 방안은 백지화됐다. 그 결과, 전북에는 전국 유권자의 4%가 살고 있지만, 국민경선 선거인단 비율은 14.3%에 이르렀다. 전북보다 인구가 훨씬 많은 경기·인천(15.1%), 부산·경남 선거인단(14.4%)과 맞먹는 수치다. 전북 지역이 실제 유권자 비례보다 ‘과대 대표’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경선규칙 합의를 중재했던 이목희 의원은 “편차 보정이 없으면 손학규·이해찬 후보에게 불리했지만, 큰 이의 제기 없이 쉽게 합의했다”며 “완전 개방형이라는 국민경선제의 원칙상 보정이 필요 없다는 명분을 두 후보 쪽이 수용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