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주가 추이
금감원, 재벌 일가 등 소환조사 채비
4~5월 두달새 주가 2.5배 올라 큰 시세차익
이명박 후보 사위 “투자자문사에 투자 일임”
해당 투자자문사 지분 51% 가져 의문 남아 현대상선 주가 조작 의혹 사건은 정확하게 말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 의혹 사건’이다. 지난 4월30일 이뤄진 현대상선의 자사주 1천억원 매입 결정을 누군가 사전에 알고 현대상선 주식을 매집한 뒤 되팔아 거액의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다. ■ 주가 조작 의혹 사건의 발단=애초 현대상선의 자사주 매입은 외국계 펀드 등이 현대상선 주식을 대량 매집하고 있는 데 대한 경영권 방어였다. 문제는 현대상선의 자사주 매입 결정이 주식시장에서 주가를 올리는 재료가 되었다는 것이다. 현대상선의 주가는 4월 초만 해도 2만2750원에 불과했으나, 두달 만인 5월30일엔 5만5천원으로 2.4배나 급등했다. 누군가 현대상선의 자사주 매입 결정을 회사 내부자로부터 미리 전해듣고 주식을 샀다면 엄청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는 얘기다. 실제로 현대상선이 4월30일 자사주 매입을 공시하기 직전인 4월12~26일 한 증권사 창구에서 현대상선 주식 218만주를 사들였다. 공시 이전에 취득한 정보를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으려고 주식 거래를 했다면, 증권거래법상 불공정 거래 행위에 해당돼 형사 처벌을 피하기 힘들다. 현대상선은 주가가 이상 급등하자 지난 5월 말 “소액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진상 조사를 해달라는 민원을 금융감독 당국에 냈다. 그런데 금융감독 당국의 조사 과정에서 뜻밖에도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의 사위가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대선 쟁점이 돼버린 것이다. ■ 금감원 조사 어떻게 되나?=지난 9월17일 증권선물거래소의 조사 자료를 넘겨받은 금융감독원은 정밀 조사에 들어갔고, 몇몇 재벌 일가들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00억원대의 시세차익을 거둔 혐의를 포착한 상태였다. 그런데 25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감에서 대통합민주신당의 김영주·김현미 의원 등은 이 재벌 일가들이 이명박 후보의 셋째사위인 조현범 한국타이어 부사장과 그의 부친(조양래 한국타이어 회장), 구아무개씨와 정아무개씨 등 또다른 재벌 2, 3세들이라고 주장했다. 조현범 부사장은 24일과 25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자신에게 쏠리고 있는 의혹들을 대부분 부인했다. 조 부사장은 지난 4∼5월께 현대상선 주식을 산 것은 사실이지만, 주식 거래의 주체는 자신의 주식 투자를 위탁관리하는 ㅅ투자자문사라고 말했다. 설령 불공정 거래 행위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자신과는 무관하며, 책임이 있다면 ㅅ투자자문사에게 물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조 부사장은 ㅅ투자자문사의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다.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회사가 적대적 인수·합병 논란의 중심에 있는 현대상선 주식을 대량 매입한 사실을 전혀 몰랐다는 얘기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금감원은 현재 시세차익을 본 기업과 재벌 일가 등에 대한 계좌추적과 함께 시세차익 규모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서류 조사가 마무리되면 바로 이어 혐의자를 선정해 소환 조사에 들어가게 된다. 김용덕 금감위원장은 이날 국감 답변에서 “현재 금감원 내부에서 소환 대상자 선정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해, 혐의자에 대한 소환이 임박했음을 내비쳤다. 최익림 김경락 기자 choi21@hani.co.kr
이명박 후보 사위 “투자자문사에 투자 일임”
해당 투자자문사 지분 51% 가져 의문 남아 현대상선 주가 조작 의혹 사건은 정확하게 말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 의혹 사건’이다. 지난 4월30일 이뤄진 현대상선의 자사주 1천억원 매입 결정을 누군가 사전에 알고 현대상선 주식을 매집한 뒤 되팔아 거액의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다. ■ 주가 조작 의혹 사건의 발단=애초 현대상선의 자사주 매입은 외국계 펀드 등이 현대상선 주식을 대량 매집하고 있는 데 대한 경영권 방어였다. 문제는 현대상선의 자사주 매입 결정이 주식시장에서 주가를 올리는 재료가 되었다는 것이다. 현대상선의 주가는 4월 초만 해도 2만2750원에 불과했으나, 두달 만인 5월30일엔 5만5천원으로 2.4배나 급등했다. 누군가 현대상선의 자사주 매입 결정을 회사 내부자로부터 미리 전해듣고 주식을 샀다면 엄청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는 얘기다. 실제로 현대상선이 4월30일 자사주 매입을 공시하기 직전인 4월12~26일 한 증권사 창구에서 현대상선 주식 218만주를 사들였다. 공시 이전에 취득한 정보를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으려고 주식 거래를 했다면, 증권거래법상 불공정 거래 행위에 해당돼 형사 처벌을 피하기 힘들다. 현대상선은 주가가 이상 급등하자 지난 5월 말 “소액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진상 조사를 해달라는 민원을 금융감독 당국에 냈다. 그런데 금융감독 당국의 조사 과정에서 뜻밖에도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의 사위가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대선 쟁점이 돼버린 것이다. ■ 금감원 조사 어떻게 되나?=지난 9월17일 증권선물거래소의 조사 자료를 넘겨받은 금융감독원은 정밀 조사에 들어갔고, 몇몇 재벌 일가들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00억원대의 시세차익을 거둔 혐의를 포착한 상태였다. 그런데 25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감에서 대통합민주신당의 김영주·김현미 의원 등은 이 재벌 일가들이 이명박 후보의 셋째사위인 조현범 한국타이어 부사장과 그의 부친(조양래 한국타이어 회장), 구아무개씨와 정아무개씨 등 또다른 재벌 2, 3세들이라고 주장했다. 조현범 부사장은 24일과 25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자신에게 쏠리고 있는 의혹들을 대부분 부인했다. 조 부사장은 지난 4∼5월께 현대상선 주식을 산 것은 사실이지만, 주식 거래의 주체는 자신의 주식 투자를 위탁관리하는 ㅅ투자자문사라고 말했다. 설령 불공정 거래 행위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자신과는 무관하며, 책임이 있다면 ㅅ투자자문사에게 물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조 부사장은 ㅅ투자자문사의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다.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회사가 적대적 인수·합병 논란의 중심에 있는 현대상선 주식을 대량 매입한 사실을 전혀 몰랐다는 얘기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금감원은 현재 시세차익을 본 기업과 재벌 일가 등에 대한 계좌추적과 함께 시세차익 규모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서류 조사가 마무리되면 바로 이어 혐의자를 선정해 소환 조사에 들어가게 된다. 김용덕 금감위원장은 이날 국감 답변에서 “현재 금감원 내부에서 소환 대상자 선정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해, 혐의자에 대한 소환이 임박했음을 내비쳤다. 최익림 김경락 기자 choi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