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예비후보 ‘양극화’ 뚜렷
호남권 공천경쟁 평균 5.3대1
영남은 68곳 신청자 16명 불과 통합민주당이 ‘전국정당’의 기치를 높이 세우고는 있지만, 중앙선관위의 총선 예비후보자 현황을 보면 이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텃밭’ 격인 호남에는 후보자가 차고 넘치는 반면, 영남에는 후보자가 가물에 콩 나듯 한다. 뚜렷한 양극화로 지역정당화를 우려해야 할 정도다. 통합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17일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한데 합쳐 통합민주당이 출범한 사실을 알리면서 “우리 당은 전통 지지층의 재결집은 물론 취약지역의 야당세력을 다시 재결집해서 전국정당의 면모를 갖춘 유일한 대안야당”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영남지역에서 통합 이전 대통합민주신당이나 민주당 이름표를 달고 후보로 등록한 사람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부산·경남, 대구·경북, 울산 등 전 영남권을 통틀어 68개 지역구에서 두 당의 후보자는 16명에 불과하다. 부산과 경남이 각각 5명, 대구가 3명, 경북이 2명 순인데, 울산은 그나마 예비후보자가 1명도 없다. 서울·수도권도 영남권보다는 낫지만 사정이 좋지 않기는 매한가지다. 익명을 요청한 통합민주당 당직자는 “총선까지 남은 기간이 짧아 경선이 어렵기도 하지만, 막상 경선을 한다 해도 후보들이 그렇게 나와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공천=당선’이 확실해 보이는 호남권에는 예비후보자들이 운집해 있다. 광주와 전남·북을 합친 전라권 31개 지역구에 예비후보자로 등록한 두 당 소속 인사는 17일 현재 166명이나 된다. 지역구당 평균 5.3대 1의 공천 경쟁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경쟁이 가장 심한 곳은 지역구가 7석밖에 되지 않는 광주광역시로, 이미 7.4대 1을 넘었다. ‘영남지역 0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손학규 당 대표는 최근 영남지역 출마자를 비례대표와 연동하는 내용의 ‘석패율 제도’ 도입을 언급했지만, 선거법 개정 사안이라 실제 도입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대신 당에서는 비례대표를 공천할 때 당선 가능성이 높은 상위 순번에 영남지역 인사를 우선 배정하는 방안을 현실적인 대책으로 논의하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한 당직자는 “과거에는 경제력이 있는 사람을 비례대표로 영입하면서 그때 확보한 자금으로 영남지역에 후보를 내곤 했지만, 이제는 그것마저도 옛 얘기가 됐다”면서 “19일부터 공천신청을 받아도 사정이 나아질 것 같지는 않다”고 걱정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영남은 68곳 신청자 16명 불과 통합민주당이 ‘전국정당’의 기치를 높이 세우고는 있지만, 중앙선관위의 총선 예비후보자 현황을 보면 이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텃밭’ 격인 호남에는 후보자가 차고 넘치는 반면, 영남에는 후보자가 가물에 콩 나듯 한다. 뚜렷한 양극화로 지역정당화를 우려해야 할 정도다. 통합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17일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한데 합쳐 통합민주당이 출범한 사실을 알리면서 “우리 당은 전통 지지층의 재결집은 물론 취약지역의 야당세력을 다시 재결집해서 전국정당의 면모를 갖춘 유일한 대안야당”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영남지역에서 통합 이전 대통합민주신당이나 민주당 이름표를 달고 후보로 등록한 사람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부산·경남, 대구·경북, 울산 등 전 영남권을 통틀어 68개 지역구에서 두 당의 후보자는 16명에 불과하다. 부산과 경남이 각각 5명, 대구가 3명, 경북이 2명 순인데, 울산은 그나마 예비후보자가 1명도 없다. 서울·수도권도 영남권보다는 낫지만 사정이 좋지 않기는 매한가지다. 익명을 요청한 통합민주당 당직자는 “총선까지 남은 기간이 짧아 경선이 어렵기도 하지만, 막상 경선을 한다 해도 후보들이 그렇게 나와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공천=당선’이 확실해 보이는 호남권에는 예비후보자들이 운집해 있다. 광주와 전남·북을 합친 전라권 31개 지역구에 예비후보자로 등록한 두 당 소속 인사는 17일 현재 166명이나 된다. 지역구당 평균 5.3대 1의 공천 경쟁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경쟁이 가장 심한 곳은 지역구가 7석밖에 되지 않는 광주광역시로, 이미 7.4대 1을 넘었다. ‘영남지역 0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손학규 당 대표는 최근 영남지역 출마자를 비례대표와 연동하는 내용의 ‘석패율 제도’ 도입을 언급했지만, 선거법 개정 사안이라 실제 도입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대신 당에서는 비례대표를 공천할 때 당선 가능성이 높은 상위 순번에 영남지역 인사를 우선 배정하는 방안을 현실적인 대책으로 논의하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한 당직자는 “과거에는 경제력이 있는 사람을 비례대표로 영입하면서 그때 확보한 자금으로 영남지역에 후보를 내곤 했지만, 이제는 그것마저도 옛 얘기가 됐다”면서 “19일부터 공천신청을 받아도 사정이 나아질 것 같지는 않다”고 걱정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