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승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장(왼쪽 세번째)이 26일 오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제3차 공천심사위원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당직자에게 회의 준비사항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비리·부정 배제 유연해야”-“똑같은 범죄, 예외는 없다”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가 호남 현역의원 ‘최소 30% 물갈이’ 방침을 정하고 ‘공천 쇄신’을 위한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했다.
공심위가 첫 표적으로 삼은 호남 지역은 통합민주당으로서는 공천 쇄신이 불가피한 지역이다. 현실적으로 공심위가 작심하고 옥석을 가릴 수 있는 곳은, 공천만 받으면 당선으로 직결되는 사실상의 기득권 지역인 호남 지역뿐이기 때문이다.
상징성 측면에서 수도권도 공천혁명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경쟁률 2 대 1 수준에 머문 인물난 속에서 옥석가리기가 쉽지 않다. 공심위가 수도권에서도 ‘현역 의원 30% 물갈이’를 목표를 세웠으나, “전략공천이나 경쟁력 등을 감안해, 이 부분은 추가로 논의할 계획”이라며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에 견줘 6.5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인 호남 지역은, 공심위가 제대로 ‘칼’을 휘두를 수 있는 텃밭이다. 전략공천 등 외부적인 요인을 고려할 필요 없이 여러 가지 객관적인 자료만으로 평가다운 평가를 할 수 있는 지역인 셈이다. 박경철 홍보 간사는 “전북에서 3곳, 광주·전남에서 6곳 정도가 과락 대상이 될 수 있다”며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했다.
‘물갈이’ 방침이 전해지자 호남 지역 현역 의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벌써부터 광주 지역에서는 몇몇 현역 의원의 이름이 ‘물갈이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공심위가 이미 여론조사를 통해 상당한 자료를 축적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호남 지역의 한 현역 의원은 공심위의 ‘물갈이’ 방침을 전해 들은 뒤 “충격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 의원은 “객관적 기준과 수치가 제시돼야 하며, 여론몰이식 물갈이가 돼선 안 된다”며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그러나 광주 지역의 한 예비후보는 “공심위가 공천혁명을 위해 과감한 의지를 보여준 상징적인 조처”라고 반기며 “30%라는 수치에 머물 것이 아니라 쇄신과 변화를 바라는 지역민의 의지를 담아 확고한 원칙과 비전을 가지고 공천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