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 17대 대선 후보였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2일 대국민성명을 내어 “최근 후진정치의 상징인 정치 보복과 야당 탄압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명백한 조짐이 있다”며 “정치 보복이나 야당 탄압은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 전 장관은 성명에서 “87년 이후 국가권력이 전면에 나서 정적을 숙청하는 관행은 사라졌고, 5년 전, 10년 전에도 대선 때의 고소·고발 사건을 서로 취하하고 새롭게 출발했다”며 “그러나 제 선거운동에 참여해 헌신적으로 애쓴 많은 분들이 수사당국의 조사를 받고 사법처리 대상이 되는 등 우리 정치 풍토에 간신히 자리 잡은 화합과 관용의 미덕이 사라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한나라당의 이런 태도는 총선을 앞두고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다는 의혹을 낳고 있다”며 “끝끝내 문제를 삼겠다면 저 한 사람만 겨냥해 달라”고 말했다.
통합민주당에서는 대선 당시 비비케이(BBK) 의혹을 집중 제기했던 의원과 당직자 20여명이 한나라당으로부터 고소·고발을 당한 상태다. 정 전 장관의 최측근인 박영선·김현미 의원이 검찰 소환 통보를 받았고, 서혜석·김종률 의원은 3일 출두하라는 통보를 받았으며, 정봉주 의원은 불구속 기소됐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에 대해 논평을 내어 “대선 때 온갖 허위 폭로와 흑색 선전을 해놓고, 이제 와서 고소·고발 취하가 관행이라고 하느냐”며 “잘못을 덮어버리자는 것은 구태이자 무책임의 전형”이라고 반박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