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한국방송 부산총국에서 열린 부산 북강서갑 선거구 후보토론회에서 박민식 한나라당 후보가 불참해 전재수 통합민주당 후보(오른쪽)가 사회자와 홀로 토론을 벌이고 있다.〈국제신문〉제공
텃밭후보들이 특히 심해
박근혜도 어제 토론 ‘펑크’
박근혜도 어제 토론 ‘펑크’
대선에 이어 총선에서도 유력 후보들의 합동토론회 기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맥빠진 토론회가 진행되거나 선거관리위원회가 토론회를 연설회로 대체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토론회 불참에 대해 별도의 제재 규정이 없는 규정을 고쳐 불이익을 주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토론회 기피 현상은 영남의 한나라당 후보, 호남의 통합민주당 후보 등 ‘공천=당선’이라는 인식이 강한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에서는 지난 28~29일 5곳의 선관위 주최 토론회가 남구 한 곳에서만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북·강서갑에선 한나라당 박민식 후보가 나오지 않아 통합민주당 전재수 후보의 ‘나홀로 토론회’가 열렸고, 영도와 진갑, 북·강서을에서도 한나라당 김형오, 허원제, 허태열 후보가 잇따라 불참하거나 불참을 통보했다. 부산의 18개 선거구 중 5곳에서 선관위 토론회가 연설회로 대체되는 등 절반이 넘는 10곳의 토론회가 파행을 빚고 있다.
대구·경북에서도 31일 한나라당 최경환 후보(경북 경산·청도)와 박근혜 후보(대구 달성)가 선관위 토론회에 불참했다.
전북에서는 통합민주당 김춘진 후보(부안·고창)와 정세균 후보(진안·무주·장수·임실)가 불참을 통보해 1일과 3일로 예정된 선관위 토론회가 무산됐다.
충북에선 지난 26일 시민단체와 지역 언론사가 공동주최한 보은·옥천·영동 선거구 토론회에 자유선진당 이용희 후보, 29일에는 진천·음성·괴산·증평 선거구 토론회에 김경회 한나라당 후보가 각각 나오지 않았다. 또 1일로 예정된 인천 남동갑 선관위 토론회에도 한나라당 이윤성 후보가 불참을 통보했다.
이에 대해 상대 후보와 지역 시민단체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경북 경산·청도에 출마한 통합민주당 서헌성 후보 등 3명은 31일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한나라당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오만불손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최경환 후보의 토론회 불참을 강하게 비난했다. 충북지역 시민단체들도 “후보 검증을 피하려는 것”이라며 이용희 후보와 김경회 후보를 비판했다.
불참 후보들의 해명도 제각각이다. 김경회 후보는 “미리 짜여진 유세일정 때문에 토론회 불참이 불가피하다”고 말했고, 이윤성 후보 쪽은 “지난달 22일 지역언론 주최 토론회에서 이미 정견을 발표했기 때문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현행 선거법에는 선관위 주최 토론회에 불참하더라도 마땅한 제재 규정이 없다. 오히려 토론회에 불참하면 지역 유선방송을 통해 10분 이내의 정책연설 대체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공직선거법을 개정해 토론회 불참 후보에 대한 제재 규정을 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토론회를 주관하고 있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관계자는 “토론회에 불참하면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선거비용 보전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의 규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김동훈 기자, 지역종합 cano@hani.co.kr
현행 선거법에는 선관위 주최 토론회에 불참하더라도 마땅한 제재 규정이 없다. 오히려 토론회에 불참하면 지역 유선방송을 통해 10분 이내의 정책연설 대체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공직선거법을 개정해 토론회 불참 후보에 대한 제재 규정을 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토론회를 주관하고 있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관계자는 “토론회에 불참하면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선거비용 보전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의 규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김동훈 기자, 지역종합 c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