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총선 이후 각당 앞길] 참패한 민주당
책임 소재·리더십·정체성 등 ‘내부 수리’ 불가피
‘호남 지역당’ 축소…‘옛 민주계’ 복귀로 새 지형
책임 소재·리더십·정체성 등 ‘내부 수리’ 불가피
‘호남 지역당’ 축소…‘옛 민주계’ 복귀로 새 지형

관건은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 얻은 의석수에 대한 평가에 달려 있다. 평가의 방향에 따라 민주당의 선택지는 대략 세 가지 정도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이번 총선의 결과를 ‘예정된 패배’로 수용하는 흐름이 형성되면 지금 체제를 크게 흔들지 않는 범위에서 수습이 될 수도 있다. 기대에는 못미치지만, 마땅한 대체 인물이 없다는 ‘대안 부재론’이 세를 얻는다면 ‘손학규 체제’가 유지될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다. 최소한 7월 이전에 치러질 전당대회까지는 아쉬운 대로 후유증을 달래며 내부 정비를 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총선에서 살아돌아온 일부 중진, 옛 민주계 출신 일부 인사 등이 손 대표 책임론을 본격 제기하고, 그 원인과 책임소재를 따지게 되면 상황은 매우 유동적으로 바뀔 수밖에 없다. 우선 손 대표의 책임 문제를 놓고 대치선이 그어질 것이고, 당의 정체성을 둘러싼 논란도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일부 중진들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비대위) 체제를 꾸리느냐, 7월 전당대회를 앞당겨 지도부를 일찍 교체하느냐는 문제도 중요한 쟁점이 될 전망이다. 물론, 당 내부에선 박상천 대표 등 옛 민주계가 과거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앞장 선 ‘전력’이 있고, 쇄신공천을 흐린 책임도 있기 때문에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이 예상해볼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당내 분란이 장기화하면서 당 전체가 오랫동안 표류하는 경우다. 열쇠를 쥔 사람은 손 대표다. 김영태 목포대 교수(정치학)는 “민주당의 진로는 손 대표가 리더십을 발휘해서 국면을 돌파하느냐, 아니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