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태 최고위원/ 정장선 의원 / 전병헌 의원
■ 유인태 최고위원
지역개발 매몰된 공약 부끄럽고도 참담하다
■ 정장선 의원
노무현 심판론 벗기엔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 전병헌 의원
거대담론 정치보다는 생활문제로 싸웠어야 통합민주당 수도권 참패를 두고 당·낙선자들이 표심의 교훈과 당재건에 관련된 쓴소리들을 쏟아내고 있다. “정책선거를 한다면서, 국회의원 후보로 나온 사람들 99%가 서울시의원 공약을 했다. 뉴타운이 어떻게 국회의원이 할 공약인가. 자치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아닌가. 그러나 저도 했다. 해서는 안 될 공약인데 참모들이 하라고 해서 했다. 부끄럽다. 우리 후보들도 (한나라당을) 따라서 안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참담하다.” 유인태 통합민주당 최고위원이 1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말이다. 유 의원은 지난 9일 서울 도봉을에서 3선에 실패했다. 별다른 정치적·정책적 이슈 없이 치러진 총선에서 지역구 개발 공약에 매몰될 수 밖에 없었다는 중진 의원의 솔직한 고백이었다. 수도권에 출마했던 의원들은 개별 후보들이 이런 ‘개발 공약’이나 ‘지역 활동’을 뛰어 넘어 유권자들한테 전달할 만한 ‘야당의 메시지’가 부족했다는 점을 참패 원인으로 꼽았다. 이명박 정부에 실망한 사람들이 늘어났는데도, 이들이 투표장으로 발길을 옮길 동기를 만들어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미경(4선·서울 은평갑) 의원은 “투표율이 낮은 게 치명적이었는데, 민주당의 정체성이나 정책이 부동층에게 전혀 다가가지 못했다. 당을 급히 만드느라 당의 정책 기조를 만들어내지 못한 탓”이라고 말했다. 전병헌 의원(재선·서울 동작갑)은 “대운하, 건강보험, 물가상승 등 세게 달라붙을 수 있는 쟁점들을 전혀 활용하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후보들이 지역 개발 공약에 매달릴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장선 의원(3선·경기 평택을)은 “수도권에서는 40~50대도 이명박 정부에 대해 많이 돌아섰지만, 민주당은 ‘노무현 탈색’을 못했다”고 말했다. 대선 때의 ‘노무현 정권 심판론’을 벗어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낙선한 우상호 의원(서울 서대문갑)은 “우리 지지자들이 투표에 대거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지지 세력이 완전히 복원될 만큼 우리가 동기 부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당의 재건방향’을 두고선 ‘서민 경제’와 ‘생활 정치’를 강조하는 의견들이 나왔다. 서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학진 의원(재선·경기 하남)은 “공중에 떠 있는 주장은 안 먹힌다. 한 가구당 200만원씩 돌려 받는 학교용지부담금을 우리가 재의결했다고 선전했더니 쌍수를 들고 표를 주더라”며 “한반도 대운하 같은 것은 강력하게 태클을 거는 등 야당다운 야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헌 의원은 “거대 담론을 갖고 정치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번 총선에서 ‘386’ 세대가 전멸하다시피 한 것은 ‘이념형 정치’에 대한 심판”이라며 “물가, 건강보험 등 구체적인 생활 문제를 놓고 보수 정권과의 전선을 쳐야 한다”고 말했다. 좀 더 장기적인 관점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영선 의원(재선·서울 구로을)은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에는 대부분 보수화한다. 3만 달러가 되면 다시 진보로 옮아 간다. 우리는 3만 달러 시대를 바라보면서 특히 서민 경제와 중소기업을 살려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상호 의원은 “남북 관계나 저출산·고령화에 필요한 분배의 문제 등은 진보의 가치가 아니라 시대의 가치다. 보수 세력이 이런 시대적 가치를 소홀히 하면 미래에 대비할 수 없다”며 “야당은 이런 시대 가치가 퇴보하지 않도록 싸워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진보의 가치를 다시 정립해 국민들의 동의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은 김태규 기자 jieuny@hani.co.kr
지역개발 매몰된 공약 부끄럽고도 참담하다
■ 정장선 의원
노무현 심판론 벗기엔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 전병헌 의원
거대담론 정치보다는 생활문제로 싸웠어야 통합민주당 수도권 참패를 두고 당·낙선자들이 표심의 교훈과 당재건에 관련된 쓴소리들을 쏟아내고 있다. “정책선거를 한다면서, 국회의원 후보로 나온 사람들 99%가 서울시의원 공약을 했다. 뉴타운이 어떻게 국회의원이 할 공약인가. 자치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아닌가. 그러나 저도 했다. 해서는 안 될 공약인데 참모들이 하라고 해서 했다. 부끄럽다. 우리 후보들도 (한나라당을) 따라서 안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참담하다.” 유인태 통합민주당 최고위원이 1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말이다. 유 의원은 지난 9일 서울 도봉을에서 3선에 실패했다. 별다른 정치적·정책적 이슈 없이 치러진 총선에서 지역구 개발 공약에 매몰될 수 밖에 없었다는 중진 의원의 솔직한 고백이었다. 수도권에 출마했던 의원들은 개별 후보들이 이런 ‘개발 공약’이나 ‘지역 활동’을 뛰어 넘어 유권자들한테 전달할 만한 ‘야당의 메시지’가 부족했다는 점을 참패 원인으로 꼽았다. 이명박 정부에 실망한 사람들이 늘어났는데도, 이들이 투표장으로 발길을 옮길 동기를 만들어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미경(4선·서울 은평갑) 의원은 “투표율이 낮은 게 치명적이었는데, 민주당의 정체성이나 정책이 부동층에게 전혀 다가가지 못했다. 당을 급히 만드느라 당의 정책 기조를 만들어내지 못한 탓”이라고 말했다. 전병헌 의원(재선·서울 동작갑)은 “대운하, 건강보험, 물가상승 등 세게 달라붙을 수 있는 쟁점들을 전혀 활용하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후보들이 지역 개발 공약에 매달릴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장선 의원(3선·경기 평택을)은 “수도권에서는 40~50대도 이명박 정부에 대해 많이 돌아섰지만, 민주당은 ‘노무현 탈색’을 못했다”고 말했다. 대선 때의 ‘노무현 정권 심판론’을 벗어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낙선한 우상호 의원(서울 서대문갑)은 “우리 지지자들이 투표에 대거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지지 세력이 완전히 복원될 만큼 우리가 동기 부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당의 재건방향’을 두고선 ‘서민 경제’와 ‘생활 정치’를 강조하는 의견들이 나왔다. 서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학진 의원(재선·경기 하남)은 “공중에 떠 있는 주장은 안 먹힌다. 한 가구당 200만원씩 돌려 받는 학교용지부담금을 우리가 재의결했다고 선전했더니 쌍수를 들고 표를 주더라”며 “한반도 대운하 같은 것은 강력하게 태클을 거는 등 야당다운 야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헌 의원은 “거대 담론을 갖고 정치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번 총선에서 ‘386’ 세대가 전멸하다시피 한 것은 ‘이념형 정치’에 대한 심판”이라며 “물가, 건강보험 등 구체적인 생활 문제를 놓고 보수 정권과의 전선을 쳐야 한다”고 말했다. 좀 더 장기적인 관점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영선 의원(재선·서울 구로을)은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에는 대부분 보수화한다. 3만 달러가 되면 다시 진보로 옮아 간다. 우리는 3만 달러 시대를 바라보면서 특히 서민 경제와 중소기업을 살려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상호 의원은 “남북 관계나 저출산·고령화에 필요한 분배의 문제 등은 진보의 가치가 아니라 시대의 가치다. 보수 세력이 이런 시대적 가치를 소홀히 하면 미래에 대비할 수 없다”며 “야당은 이런 시대 가치가 퇴보하지 않도록 싸워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진보의 가치를 다시 정립해 국민들의 동의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은 김태규 기자 jieuny@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