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의원들이 1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공성진 등 “현 사태 수습위해 누군가 책임져야”
당·청 ‘진흙탕 싸움’ 확대 우려 수위조절 기류도
당·청 ‘진흙탕 싸움’ 확대 우려 수위조절 기류도
쇠고기 협상 파문으로 이명박 정부에 대한 민심 이반이 계속되면서 한나라당 안에서 청와대와 내각 고위인사들에 대한 인책론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친이명박계인 공성진 의원은 16일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장관과 청와대 인사는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면서도 “현 사태를 수습하고 국정을 쇄신할 기회를 잡기 위해선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공 의원은 지난 13일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해 “현재까지 드러난 것만 봐도 일부 청와대 수석의 교체가 불가피하고, 장관도 법률적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책임을 지워야 한다”며 인책론을 제기한 바 있다.
남경필 의원도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현 사태에 대해 여권이 별 대책 없이 계속 침묵해서는 안 된다. 누군가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당 안팎에서 다양한 경로로 쇄신 의견을 청와대와 정부에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들은 한나라당 의원 상당수의 정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공개적으로 주장하진 않더라도 사석에서 분위기 일신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의원들은 꽤 많다.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김성이 보건복지부장관과 몇몇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이 이런 맥락에서 입길에 오른다.
다만 현재로선 수위 조절 기류도 엿보인다. 여당에서 인책 대상자까지 정색하고 거론했다가, 자칫 당과 청와대 사이 진흙탕 싸움으로 번질 가능성이 염려된다는 것이다. 정병국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도 쇠고기 청문회를 다 봤을 테고, 우리가 느끼는 문제를 대통령도 느꼈을 것”이라며 “그것이 여론이니 당이 ‘감 놔라 배 놔라’ 하지 않아도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알아서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말을 아꼈다.
이들은 청와대와 내각에 대한 전면 쇄신을 기대하며 19일로 예정된 강재섭 대표와 이명박 대통령의 주례회동을 주시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한 재선 의원은 “청와대가 정무기능이 없는 것은 박재완 정무수석 개인의 문제가 이니라 장관과 청와대 수석들 대다수가 정무기능이 없다는 뜻”이라며 “특보를 신설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라, 적합하지 않은 사람은 배제하고 장관과 수석들이 모두 정무기능을 갖출 수 있게 다시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동 이후에도 청와대가 국민을 납득시킬 쇄신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태세이다. 수도권 소장파의 선두주자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우리의 관심은 쇠고기 협상에 책임 있는 장관 한두 명이 물러나는 게 아니라, 청와대와 정부의 전면적 쇄신”이라며 “이 대통령과 강대표 회동 뒤에도 별다른 조처가 없다면 뜻을 같이하는 의원들과 정면으로 인책론을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승근 조혜정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