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혜영 통합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 두 번째)가 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정책의장단 합동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사태를 해결할 생각도, 능력도 없다. 오히려 성난 민심에 기름만 붓고 있다”고 비판하며 “한나라당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변칙 공모 시비 성동갑 등 3곳
“계파 사당화” 당내반발 계속
“계파 사당화” 당내반발 계속
통합민주당이 쇠고기 정국에도 아랑곳없이 지역위원장 나눠먹기로 내홍에 빠져 있다.
민주당은 연휴 기간인 지난 7일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어 논란을 빚고 있는 서울 영등포을과 성동갑, 광주 남구, 전남 목포 등 4개 지역위원장 선정안을 추인하려다, 당내 반발에 부닥쳐 영등포을을 제외한 3곳에 대해 보류 결정을 내렸다.
논란의 핵심은 손학규계와 옛 민주계가 ‘담합’해 자리를 나눠먹었다는 것이다. 이들 4곳의 지역위원장에 선정된 이들은 모두 당 최고위원·사무부총장인데, 지역위원장을 선정하는 조직강화특위 위원으로 활동했다. 특히 옛 민주계인 고재득 최고위원이 지역위원장으로 선정된 성동갑의 경우, 애초 조직강화특위가 정한 지역위원장 공모 기준에 해당하지 않았으나, ‘최고위원 예우’ 명목으로 공모 지역으로 바뀐 곳이다. 손 대표의 측근인 이재천 사무부총장은 자신의 활동 지역도 아닌 광주 남구에서 10대1의 경쟁을 뚫고 지역위원장에 뽑혔다. 이 두 지역은 현역 의원이 기소돼 재보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곳이기도 하다.
조직강화특위는 정체성·업무적합성·당기여도·도덕성·조직화합능력 등의 심사기준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배점도 하지 않은 채 위원장 선정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최고위는 비공개 회의에서 박영선·김상희 등 몇몇 최고위원들이 조직강화특위의 편파성과 담합 의혹을 강하게 문제 삼고 나서는 바람에 결정을 유보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민주당이 손학규·박상천 대표의 사당이냐”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송영길·최재성 등 당내 소장파 의원들로 구성된 ‘개혁과 미래’ 모임은 8일 지역위원장 선정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었으나, 최고위의 보류 결정이 나자 취소했다.
손 대표 쪽의 한 핵심 관계자는 “조직강화특위 위원들이 지역위원장을 차지해 오해의 소지도 크고 불협화음도 큰 것 같다. 선정이 보류된 곳은 사실상 (인준이) 물 건너간 것으로 봐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