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혜영 통합민주당 원내대표(왼쪽부터)와 서갑원 원내 수석부대표, 조정식 원내대변인이 30일 오전 국회에서 등원문제를 논의하려고 소집한 의원총회에 앞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두들겨 맞고 등원 말되나”
“이제야 눈길 받기 시작”
6일 전대 이전엔 힘들 듯
“이제야 눈길 받기 시작”
6일 전대 이전엔 힘들 듯
통합민주당은 30일 의총 ‘끝장토론’을 통해 “지금은 등원할 때가 아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한나라당의 태도 변화가 없는 한, 새 지도부가 뽑히는 7월6일 전당대회 이전에 등원하기 어렵다는 기류를 다시 한번 확인한 셈이다.
하지만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민주당이 등원론으로 기울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전날 원혜영 원내대표와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비공식 회동을 통해 등원 조건에 대한 논의가 오간데다, 이날 국회 공전 한 달을 맞아 ‘원내에서의 야당 역할론’이 부쩍 제기됐기 때문이다.
손학규·박상천 대표가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등원론의 군불을 뗐다. 손 대표는 “민주당이 광화문에 나가 앉아있는 것도, 국회가 이렇게 뒷전에 있는 것도 한계”라며 “우리가 앞장서 국정을 구해야겠다는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거듭 등원 주장을 폈다. 손 대표는 앞서, 천정배·문희상·김효석 의원 등 중진들과 만나 이런 의견을 전달하고, 협조를 구했다. 손 대표는 전당대회 이전에 자신이 ‘총대’를 메고 등원 문제를 마무리 짓고 싶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고위원회 직후 열린 의총에서는 ‘조기등원 반대론’이 우세했다. 조정식 원내대변인은 “등원 시기상조론이 등원론보다 6대 4로 많았다”고 말했다.
의총에서는 ‘신공안정국’ 형성과 민주당 의원들에 대한 폭행 사태를 비판하는 발언이 주조를 이뤘다고 한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정상적인 개원 상황에서도 뛰쳐나갈 판인데, 장외 투쟁하다 두들겨 맞고 등원하자는 게 말이 되냐”고 말했다. 등원 반대론에는 특히 촛불시위 현장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국민보호활동’이 차츰 시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핵심 당직자는 “이제야 비로소 민주당이 눈길을 받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반면, 강봉균·이시종 의원 등 등원론자들은 “원내외 투쟁을 병행해서 투쟁의 공간을 넓혀야 하고, 쇠고기 말고도 국정 현안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야당 역할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폈다.
당 지도부가 등원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에 대한 한나라당의 태도가 불확실하다는 점도 논란이 됐다. 조정식 원내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홍준표 원내대표가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에 동의했고, 내용은 국회를 열어 논의하자고 했다”고 말했으나, 홍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를 부인했다. 당 지도부는 “완전 개정은 아니지만 차선책이라도 수용한 뒤 등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으나, 몇몇 의원들은 “개정에 대한 확실한 약속 없이 등원하는 것은 굴복”이라고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촛불집회 추이를 지켜보는 한편, 한나라당과 물밑 협상을 계속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가축법 개정과 별도로, △개원 논의와 원구성 협상 분리 △국회의장 선출 뒤 4일 동안 본회의 긴급현안질의 △쇠고기 대책, 고유가·고물가 대책, 방송 또는 공기업민영화 대책 특위 구성 등을 한나라당에 제안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