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의원 50명 30일 발기인대회…민주당 개혁성 강화 목표
민주당의 개혁성과 야당성 강화를 외치며 출범을 준비하고 있는 ‘민주연대’(가칭·준비위원 이목희, 최규성, 문병호 등)가 세 불리기에 한창이다. 전·현직 의원들의 참가 문의가 이어지면서 애초 10일로 예정됐던 발기인대회를 30일로 늦췄다. 오는 25일 ‘진보개혁세력이 나아갈 길’ 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거쳐 발기인대회까지 전·현직 의원 50명 정도가 참여할 것으로 민주연대 쪽은 보고 있다.
최근에는 이상수·설훈 전 의원 등이 준비위에 합류해, 참가 희망자 접촉에 발벗고 나섰다. 총선 때 당내 ‘개혁파’ 상당수가 낙선한 탓에, 현직보다는 전직 의원이 두 배 가량 많다. 민주연대는 발기인대회 이후 정치권 바깥으로 세 확장에 나서, 공식 창립 때는 시민사회 세력까지 아우르는 위상을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민주연대는 특정 인물 중심의 계파 모임이나 계파 연합이 아니라, 진보개혁 색깔을 분명히 한 정파 활동을 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참가 희망자들에게 조세·재벌·교육 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동의’ 절차를 밟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정세균 대표 체제가 노선상으로 한 발짝 ‘왼쪽’으로 가도록 견인해 내고, 민주당의 부족한 야당성을 회복하도록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겠다는 것이다.
민주연대의 활동이 본격화할 경우 정세균 대표 체제와 경쟁하면서 당세를 확장하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지만, 노선 갈등과 당 결속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민주연대 핵심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의 독주, 특히 공안정국 조성 움직임에 대해 위기의식을 갖고 분명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민주당을 비판할 때는 호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일단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한 핵심 당직자는 “아직 공식 출범도 하지 않은 당내 조직에 대해 뭐라고 얘기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당권 투쟁과는 다른 것 같다. 정책에 대한 얘기는 얼마든지 협의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