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전면 쇄신을 요구하고 나선 ‘민본 21’은 지난해 9월 발족한 당내 개혁 성향의 초선의원 모임이다. 지난 16대 국회의 ‘미래를 위한 청년연대’(미래연대)와 17대 국회 소장파 모임인 ‘새정치 수요모임’의 뒤를 이은 개혁 모임이다.
이들은 촛불시위가 한창이던 지난해 6월 미국과 쇠고기 수입 추가협상을 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한 초선의원들이 자연스럽게 모이면서 시작됐다. 회원은 권영진·권택기·김영우·정태근·김성태 (친이), 김선동·현기환 (친박), 김성식·주광덕·황영철·윤석용·신성범 (중립) 등 당내 계파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 간사인 김성식 의원은 “계파를 초월해 정치개혁에 뜻을 같이 하는 의원들에게 가입을 권유한다”고 말했다. 최근 박민식·김세연 의원이 가입해, 현재 회원수는 14명이다.
이들은 사회적 갈등을 빚은 법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당 지도부에 제출하는 등 주로 비공식적으로 활동해왔다. 지난 연말 ‘입법전쟁’ 땐 대기업·언론사의 지상파 방송참여를 뼈대로 한 방송법 개정안을 비판했고, 최근 정부의 비정규직법 개정 움직임에 반대하는 의견서를 당 정책위에 제출하기도 했다.
소극적 의견그룹에 머물던 이들이 국정운영 수정·인적 쇄신이란 ‘초강수 카드’를 들고 전면에 나선 것은 지난 재보선 완패로 나타난 민심이반 현상이 심상치 않다는 현실인식 탓이다. 민본 21 간사인 김성식 의원은 “정책의견 그룹으로 머물기엔 재보선 결과를 통한 국민의 경고가 준엄했다”며 “이런 경고를 담아내기 위해서는 정치개혁 논의를 전면화시켜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본 21의 ‘개혁 행보’가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소속 의원들이 각 계파에 소속되어 있어, 정파적 이해에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래연대’는 2003년 당권싸움 속에서 최병렬파와 서청원파로 갈라져 모임이 와해됐고, ‘새정치 수요모임’도 지난 2007년 경선 도중 사라졌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