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분노속 “조기전대로 돌파”
친박 “진정성 없는 제의 접어야”
소장파 “이상득 퇴진이 종착점”
친박 “진정성 없는 제의 접어야”
소장파 “이상득 퇴진이 종착점”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합의한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이 박근혜 전 대표의 반대로 사실상 무산되면서 한나라당 각 계파들이 ‘쇄신 묘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 속타는 박희태, 박근혜 설득 총력전 박희태 대표는 ‘김무성 카드’ 회생에 정치 생명을 건 듯한 모습이다. 7일 박근혜 전 대표 설득을 위해 김효재 비서실장을 미국에 급파했고, 8일에는 당 상임고문과 영남 의원들을 잇따라 만나 ‘화합’을 역설하며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표는 기자들에게 “김무성 원내대표가 선출되면 (친박계인) 최경환 의원을 정책위의장에 발탁할 생각이었다”며 친박 중용을 통한 탕평책의 진정성을 드러내려 안간힘을 썼다. 그러나 이날 오후 샌프란시스코에서 김 실장을 만난 박 전 대표는 “그런 식의 원내대표 추대에 반대한다”는 견해를 재확인했다.
■ 분노한 친이계, 조기전대로 판갈이? 박 전 대표가 김무성 카드에 대한 반대 뜻을 거듭 밝히자, 친이 쪽은 분노하는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한 수도권 중진의원은 “‘부도나는 회사’에 발 담그고 싶지 않고, 망하면 인수하겠다는 것”이라며 “박 전 대표가 주장하는 진정성의 실체가 뭐냐”고 목청을 높였다.
친이계 안에서는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정면돌파’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은 “이미 계파 갈등이 전면화된 이상 덮고 가긴 어렵다”며 “조기 전당대회로 당 전체를 쇄신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기전대로 계파갈등이 폭발할 경우, 여권 전체가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내각 인사를 통한 탕평’ 등 추가 양보 방안도 나오고 있다.
■ 소장파, 이상득 2선후퇴 등 압박 쇄신논쟁의 물꼬를 튼 ‘민본21’과 남경필, 권영세 의원 등 ‘원조소장파’는 원내대표 선출은 공개경선 방식으로 해결하고, 쇄신특위에서 당·정·청 전반에 걸친 고강도 쇄신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압박한다. 민본21 간사인 김성식 의원은 “당이나 청와대 일부 참모들이 적당히 넘어가자는 분위기가 느껴지는데, 쇄신특위에 전권을 부여해 환골탈퇴할 수 있는 쇄신안을 마련하도록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소장파 의원은 “여권의 쇄신 논쟁은 결국 민심과 동떨어진 당과 청와대의 인적쇄신 요구로 모아지고, 그 핵심은 비공식 권력인 이상득 의원 퇴진과 당정청에 포진한 ‘형님 인맥’ 청산”이라며 “‘형님 퇴진’이 쇄신의 종착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박근혜계, 엠비(MB)가 변해야 친박 진영은 박 전 대표의 거부 의사가 명확히 확인된 김무성 카드를 당장 접어야 한다는 태도다. 구상찬 의원은 “진정성이 실리지 않은 제의는 박 전 대표와 이 대통령의 거리만 더 넓힐 뿐”이라고 말했다. 친박 진영은 당 쇄신보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독단적인 국정수행 개선이 더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친이 진영은 원내대표에 친박 인사를 앉히면 모든 게 해결된다는 식으로 호도하고 있다”며 “일부 계층만을 편들며 독단적 태도를 보여온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승근 최혜정 성연철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