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시위자 사면·대북정책 전환 등 요구
“당이 청와대·정부 감시 역할해야” 주문도
“당이 청와대·정부 감시 역할해야” 주문도
18일 오후 열린 한나라당 쇄신특별위원회에서는 국정기조 변화, 당청소통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집중토론이 이뤄졌다. 이날 발제를 맡은 쇄신위원들은 청와대의 일방적이고 우편향적인 국정 운영기조에 대해 한목소리로 비판하며, 전면적인 방향 전환을 요구하고 나섰다. 촛불시위자 사면과 개혁인사의 요직 등용 등의 주장이 쏟아졌다.
김성태 의원은 이날 소통이 부족했던 주요 정책 사례로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비정규직 고용연장 △제2롯데월드 신축 승인 △교육세 폐지 등을 지목했다. 그는 “결국 지지자들조차 부자정당·수구정당으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했고, ‘속도전’으로 상징되는 일방통행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확산됐다”고 진단했다. 김 의원은 이어 “중도실용주의 노선의 재정립이 필요한 때”라며 촛불시위자 사면 등을 통한 사회 통합, 당·정·청 주요 보직에 개혁인사 등용,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함께 대북정책의 전향적 변화 등을 주문했다. 특히 그는 “당·정·청 관계에서도 실질적인 당권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조기전당대회를 통한 인적쇄신을 강조했다.
이정현 의원은 당·정·청의 파트너십 부족을 지적했다. 박근혜 전 대표의 측근인 이 의원은 “특히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와의 파트너십이 결여되다 보니 이 대통령 역시 지지기반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대운하는 아직도 포기하지 못한 채 여운을 남기고 있고, 재정 건전성을 위협하는 감세를 추진하면서 보수층의 지지마저 잃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당이 청와대와 정부를 견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정책의총을 실질화해서 당·정·청의 부정부패 및 불합리성을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박 초선인 이진복 의원은 “하향식 공천제도가 당의 민주화를 저해하고 있다”며 공천제도 개혁을 주장하고 나섰다. 체계적 심사 없는 전략공천이 남발되고, 공천심사 과정이 공개되지 않아 부정·비리 시비가 끊이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그는 “체계적인 공천 시스템을 마련해 공정하고 원칙적인 심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추진한 모든 정책은 대선 공약 범위 안에서 추진된 것”이라며 “갑자기 국정기조를 전환한다면 국민들에게 일종의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반박했다. 쇄신특위의 앞날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최혜정 김지은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