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숙모? 한나라당 중앙위원회 위원들이 16일 오후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난 11일 6·15남북공동선언 9돌 기념 특별강연 발언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펼침막에 적힌 북한을 “숙모하는”은 ‘우러러 사모한다’는 뜻의 “숭모하는”을 잘못 쓴 것이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정책위의장 “핵연료 재처리 회복”
원내대표 “당론 아니니 혼동말라”
원내대표 “당론 아니니 혼동말라”
한나라당이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권한 회복을 요구하는 ‘평화적 핵주권 회복론’을 두고 내부 논란에 빠졌다.
당장 여당을 이끄는 쌍두마차인 안상수 원내대표와 김성조 정책위의장은 15일 인터넷신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정면충돌했다. 안 원내대표는 이날 당 정책위의 핵주권 회복론에 대해 “한반도에서 대한민국이든 북한이든 핵을 가져서는 안 된다”며 “정부의 기본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반면, 김성조 정책위의장은 “한반도 비핵화를 전제로 (우리가) 미국 쪽에 너무 과(도하게) 양보한 결과”라며 “평화적인 핵 처리 권리는 인정받아야 한다”고 맞섰다. 안 원내대표는 김 의장의 발언을 “당론이 아니다. 혼동하지 말아 달라”고 봉합했지만, 논란은 확산되고 있다. 김 의장이 16일 <불교방송> ‘김재원의 아침저널’에서 “평화적 핵주권마저 미리 지레 겁을 먹고,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소신발언을 거듭한 것이다.
그러나 김 의장의 발언에 한나라당 소속 외교통상통일위원들도 “현실을 외면한 감성적 대응”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당 사무총장을 지낸 권영세 의원은 16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언젠가 평화적 핵주권을 회복해야 하지만, 지금은 국제사회가 한반도 비핵화 선언 무효화로 받아들인다”고 일축했다. 홍정욱 의원도 “국제사회가 남한의 핵 재처리에 민감한 이유는 북한에 대응하기 위해 군사용으로 전환할 것으로 의심하기 때문”이라며 “북한 핵실험을 이유로 평화적 핵주권 회복을 외치는 게 오히려 핵주권 회복을 늦추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