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4 주민투표, 투표율이 핵심
여는 참여, 야는 불참 호소
최근조사 ‘참여’ 33.3% 넘어…여의도연 “시장직 건뒤 효과”
‘투표 않겠다’도 37.3% 달해…실제 참여율 낮아질 가능성
여는 참여, 야는 불참 호소
최근조사 ‘참여’ 33.3% 넘어…여의도연 “시장직 건뒤 효과”
‘투표 않겠다’도 37.3% 달해…실제 참여율 낮아질 가능성
‘33.3%를 넘길 수 있을까.’
24일로 예정된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의 투표율에 대해 여야 정당은 물론 전문가들조차도 확실한 전망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투표운동이 여야가 각각 참여와 불참을 호소하는 전례 드문 양상으로 전개된 탓이다.
한나라당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민투표 결과에 시장직을 걸겠다고 밝힌 이후 투표율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홍준표 대표는 2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지역 사람들을 만나 보니 투표율이 조금 오를 것 같더라”고 말했다. 나경원 최고위원도 “지역구 사람들이 ‘오 시장 불쌍하지 않으냐’는 얘기들을 많이 한다”며 투표율 상승을 기대했다.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 관계자는 “자체 조사로 오 시장이 시장직을 건 뒤로 투표율이 3~4%포인트 정도 올라가는 것으로 나온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투표율이 5%포인트 이상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론조사기관인 홀딩페이스 최종호 대표는 “오 시장 회견이 5~6%포인트의 투표율 상승효과를 내면서 투표율이 30%에 근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를 보면, 주민투표에 ‘꼭 참여하겠다’는 응답자가 대체로 33.3%를 넘는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기자회견 직후의 조사(8월20일 한국리서치)를 보면 38.7%에 이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다른 수치에도 주목한다. 8월20일의 같은 여론조사에서 이번 투표에서 ‘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37.3%에 이른다. 과거 각종 선거에 앞선 여론조사에서 투표 불참 의사층이 10% 안팎이던 것과 견주면 이번엔 투표 불참 의사층이 현저히 높은 것이다. 김지연 미디어리서치 이사는 “일반적인 투표에선 각 당이 서로 표를 끌어내려고 노력하는데 이번엔 그렇지 않다”며 “투표를 하거나 하지 않는 것 자체가 정치적 의사 표현으로 읽히기 때문에 투표율을 판가름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래도 참고할 만한 지표가 있다. 2004년 주민투표법 도입 이래 치러진 역대 주민투표는 주민들의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걸린 사안인데도 투표율이 35~42% 사이다. 제주도 특별자치도 승인을 위한 주민투표는 ‘제주 주민들의 염원’이라고들 했지만 투표율은 36.7%에 그쳤다. 더구나 이번 서울시 주민투표는 전체 시민들의 이해관계가 걸린 것도 아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투표율이 높아지려면 해당 정책의 대상자들이 투표에 빠짐없이 참여해야 한다”며 “이번 투표에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대상이 학부모들인데, 이들은 기본적으로 무상급식에 우호적이라 투표장에 나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특히 경기도 하남시장, 제주도지사 주민소환투표처럼 투표불참 운동이 강했던 때는 33.3%에 못 미쳐 투표함을 열지도 못했다. 이번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는 형식적으로는 주민투표지만 오세훈 시장이 시장직과 연계하면서 내용적으로는 주민소환선거 성격을 띠게 됐다. 이런 점을 들어 민주당에선 실제 투표율이 20%대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다.
부재자 투표율도 높지 않았다. 지난 18~19일 부재자투표소에서 투표하겠다고 신고한 1만7208명 가운데 7766명(45.1%)이 투표하는 데 그쳤다. 부재자 투표는 본인이 투표하겠다고 먼저 신고하기 때문에 투표율이 통상 70~80%에 이르는데 이번엔 눈에 띄게 낮았다.
김외현 권혁철 기자 oscar@hani.co.kr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오른쪽 끝)이 22일 오전 국회 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시장직을 연계한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 최고위원, 김진표 원내대표, 손학규 대표, 정동영 최고위원.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왼쪽)와 유승민 최고위원이 22일 오전 국회 당 대표실에서 비공개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굳은 표정으로 악수하고 있다. 유 최고위원은 최근 중앙당 차원의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독려를 강하게 비판해왔다. 탁기형 선임기자
김외현 권혁철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