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63빌딩에서 ‘글로벌 핵안보레짐의 형성과 동아시아 핵문제의 전망’을 주제로 열린 국제학술회의에서 기조연설을 마친 뒤 나오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핵안보 학술회의’ 참석…한명숙 “김정은과 대화를”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8일 “7·4 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6·15 및 10·4 선언을 꿰뚫는 기본 정신은 서로 상대방을 인정하고 함께 평화를 만들어가자는 것”이라며 “저와 새누리당은 남북한이 ‘상호존중과 인정’의 정신을 확고하게 지켜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기념국제학술회의’ 기조연설에서 “우리의 대북정책도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미래지향적으로 진화돼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명박 정부가 그동안 북한이 요구한 ‘6·15 및 10·4 선언 이행’을 거부함으로써 남북관계가 파탄났다는 점에서 박 위원장의 이날 언급은 이명박 정부와 차별성이 있다.
박 위원장은 특히 “대한민국은 미국, 중국 등 주변국들과 함께 불신의 악순환을 신뢰의 선순환으로 변환시키는 대장정을 시작해야 하고, 북한의 변화를 촉진하는 ‘길잡이’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 뒤 이를 위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제안했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관련해 그는 “서로 약속을 지키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며 “지금까지 남북한 간에, 그리고 북한이 국제사회와 합의한 기존의 약속들은 기본적으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이어 “천안함과 연평도 공격으로 불신이 깊어진 남북관계를 조속히 회복하고, 지속가능한 평화와 공동발전의 길로 접어들 수 있도록 저와 새누리당은 열린 자세로 북한의 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원하고 협력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도 이날 같은 학술회의 기조연설에서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남북협력을 확대하고 심화시켜야 한다”며 “새로 등장한 북한 지도자와 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북한의 변화를 기다리기만 하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실패했다”며 “민주당은 남북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고, 남북관계를 가로막고 있는 ‘5·24 대북 제재조치’의 철회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김종철 선임기자 phill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공천위-비대위 4시간 기싸움 끝에 ‘도로 한나라당’
■ 새누리 ‘광우병 파동’ 농림부장관 정운천 공천
■ 한명숙 “투신사건 송구” 사과
■ 이동관 “내 시체 밟고 넘어라” 누리꾼 “축구화…”
■ ‘해품달’ PD도 “파업 적극지지, 사쪽은 곡해 말라”
■ 공천위-비대위 4시간 기싸움 끝에 ‘도로 한나라당’
■ 새누리 ‘광우병 파동’ 농림부장관 정운천 공천
■ 한명숙 “투신사건 송구” 사과
■ 이동관 “내 시체 밟고 넘어라” 누리꾼 “축구화…”
■ ‘해품달’ PD도 “파업 적극지지, 사쪽은 곡해 말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