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총선평가 보고서
민주통합당이 4·11 총선을 최저 목표치에도 못 미친 패배로 규정하고, 총선 패배를 넘어 대선 승리를 이끌기 위한 과제로 공정한 대선후보 경선 관리와 민주당의 대선 비전 조기 제시, 발전적 야권연대를 제시했다.
이런 내용은 <한겨레>가 16일 입수한 민주당의 대외비 보고서인 ‘4·11 총선 평가와 과제’에 담겼다. 이 보고서는 총선 직후 문성근 전 대표권한대행의 지시로 당 산하 민주정책연구원이 작성했다.
보고서는 민주당의 대선 과제로 크게 3가지를 꼽았다. 보고서는 당이 주도하는 공정하고 안정적인 경선관리를 위해 경선관리위원회 조기 발족과 공정성 확보, 사전의견수렴을 통한 당 주도의 경선규칙 확정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또 가칭 ‘2013년 체제를 위한 국민과의 10대 약속’ 추진 등의 형식으로 민주당의 비전과 공약을 조기에 공표할 것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당당하고 실천하는 야권연대’ 지속을 대선 승리를 위한 민주당의 핵심 과제로 내놓았다. 보고서는 ‘대선을 대비한 야권연대 협의기구의 조기 발족과 연대 방안의 조기 확정’, ‘야권연대 정책실천 협의를 위한 6인 회의 정례화’ 등을 구체적 방안으로 제시했다. 보고서는 이번 총선의 야권연대와 관련해서는 “야권연대가 오히려 상대 세력을 결집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서울 관악을 투표 부정 등) 도덕적 우월성을 살리지 못했다”며 한계를 지적했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야권연대를 파기하자는 게 아니라, 야권연대의 도덕적 기반을 다지고 진보적 가치 위에서 민생과 성장을 아우르는 정책 제시를 통해 중간층까지 지지를 확대하자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특히 대선 전략과 관련해 지난해 <한겨레> 여론조사를 인용해 “일관된 진보, 일관된 보수로 정의하기 어려운 ‘이념적 혼재층’이 51.7%로 증가했다”며 “이념적 혼재층의 상당수는 중간 또는 중도 이념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진보적 가치에 동의하는 새로운 유권자 유형”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새로운 유권자 유형의 등장을 민주당이 직면한 핵심 도전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일상생활 차원의 이해관계와 요구를 실현시켜 줄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공략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구체적으로 경제민주화, 보편적 복지, 한반도 평화를 원칙으로 삼아 민주당의 진보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다수를 위한 성장과 정의·공평·자유를 추구하는 상층적 유권자들을 아우르는 전략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비선 통해 ‘VIP 보고’ 명시…‘사찰 몸통=대통령’ 암시
■ 젊은 승려들 “포커가 재미? 부처님 욕보이는 발언”
■ 통합진보당, 한지붕 두 비대위
■ ‘코리아 좀비’ 정찬성 “아우두 나와!”
■ 불청객 황사, 다 어디갔어?
■ 비선 통해 ‘VIP 보고’ 명시…‘사찰 몸통=대통령’ 암시
■ 젊은 승려들 “포커가 재미? 부처님 욕보이는 발언”
■ 통합진보당, 한지붕 두 비대위
■ ‘코리아 좀비’ 정찬성 “아우두 나와!”
■ 불청객 황사, 다 어디갔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