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럿이 한 휴대전화번호로 인증
온라인 부정 의심 사례 12건”
혁신비대위 추가 공개
온라인 부정 의심 사례 12건”
혁신비대위 추가 공개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경선의 온라인 투표에서도 대리투표가 이뤄진 정황이 확인된 것은, 그간 “부실선거, 부정선거 의혹의 상당 부분은 온라인 투표가 아닌 오프라인(현장투표)에서 나온 문제를 가지고 증폭시킨 것”(이석기 당선자)이라는 당권파의 주장을 뒤흔드는 것이다. 온라인 투표는 경선 투표자의 85.2%(3만5512명)가 참여했는데, 이석기 당선자는 온라인에서도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비례대표 2번을 받았다. 통합진보당 온라인 투표 시스템의 허점도 다시 한번 드러났다.
통합진보당 온라인 투표는 1차례 이상 당비를 낸 당원만 참여할 수 있고, 당원의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번호 그리고 본인 인증번호가 일치해야 참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휴대전화 인증번호다. 온라인 투표는 2중 보안체계로 진행된다. 먼저 투표자가 통합진보당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시스템에 등록된 당원 명부와 일치한 경우에 한해 임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발급된다. 당원이 이 임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그 휴대전화로 인증번호가 발송된다. 투표자는 다시 이 인증번호를 입력해야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당원의 이름·주민등록번호와 휴대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제3자가 인증번호까지 알게 된다면 대리투표가 가능해진다. 당권파 쪽 ㄴ씨가 ㄱ씨의 인증번호를 요구한 것은 이런 방식의 대리투표를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간 관례적으로, 어떤 당원이 투표를 할 수 없을 때 다른 당원에게 자신의 뜻을 밝히고 대신 투표를 하게 하는 경우는 있었다는 것이 대리투표와 관련한 통합진보당 관계자들의 설명이었다. 그러나 ㄴ씨는 인증번호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ㄱ씨가 누구를 지지하는지도 묻지 않았고, 누구에게 투표했는지도 알려주지 않았다.
한편 혁신비대위는 이날, 지난 12일 중앙위원회 폭력사태로 발표하지 못한 비례경선 진상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공개하고, 비례대표 경선 부정 의혹을 추가로 제기했다. 보고서를 보면, 3월5일 확정된 선거인 명부의 선거인 수와 3월14~18일 사이 실시된 투표의 투표자 수가 발표 시점마다 다른 치명적인 결함이 드러났다. 선거인은 3월5일 기준으로 7만5251명이었는데, 3월15일에는 7만4693명으로 줄었다가 3월18일 7만4794명으로 다시 늘었다. 선거 도중에 선거인 수가 바뀐 것이다. 18일 온라인 투표가 끝났을 때 그 투표자 수는 3만6487명으로 집계됐는데, 사흘 뒤엔 3만5512명으로 줄어든다. 이런 변동을 알고 진상조사위가 투표 관리업체에 요구해 다시 집계했더니, 온라인 투표자 수는 3만6486명으로 다시 늘었다. 진상조사위는 또한 보고서를 통해 주민번호 13자리가 동일한 4명(8건)을 포함한 주민번호 의심 사례 23건과, 동일한 휴대전화 번호로 인증을 받은 6명(12건)을 포함해 휴대전화 의심 사례 20건 등 온라인 투표상의 부정선거 의혹 사례를 추가로 제기했다.
이에 앞서 박무 진상조사위원은 18일 <오마이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된 온라인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 △휴대전화 번호가 010-0000-0000인 사례 △휴대전화 번호가 010만 기록된 사례 △같은 휴대전화 번호로 두 사람이 본인 인증을 받은 사례 등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당권파 쪽은 “당 실무자에게 어떻게 된 일인지, 해명이 가능한지 먼저 알아보고 언론에 공개해야 하는데, 이런 의혹 제기는 (당권파를) 엄청난 범죄집단으로 몰아가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조혜정 김보협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뭉칫돈’ 최소한의 팩트도 못대면서…검찰, 왜 터뜨렸을까
■ 박근혜 “마지막 힘 다하려 한다”
■ 수학여행·봄꽃놀이 ‘공포의 질주’
■ 왕차관의 남자…“포스코선 그의 말이면 안되는 일 없었다”
■ 군대 간 김 일병, 애인과 문자는 ‘OK’
■ ‘뭉칫돈’ 최소한의 팩트도 못대면서…검찰, 왜 터뜨렸을까
■ 박근혜 “마지막 힘 다하려 한다”
■ 수학여행·봄꽃놀이 ‘공포의 질주’
■ 왕차관의 남자…“포스코선 그의 말이면 안되는 일 없었다”
■ 군대 간 김 일병, 애인과 문자는 ‘OK’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