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단체에 대의원 배정
경선판세 좌지우지 할수도
김한길쪽 ‘불공정성’ 우려
경선판세 좌지우지 할수도
김한길쪽 ‘불공정성’ 우려
민주통합당에서 당대표 경선 규칙이 도마에 올랐다. 논란이 된 규칙은 올해 초 신설된 정책대의원 제도다. 한창 진행중인 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특정 정파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정책대의원 제도는 올해 초 민주당과 ‘혁신과통합’ 등 당 바깥의 시민정치운동단체, 그리고 한국노총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도입됐다. 대의원 세가 강한 민주당 세력에 맞춰 시민사회와 한국노총쪽 대의원의 균형을 기한다는 취지였다. 당헌에 따르면 이런 정책대의원은 전체 대의원의 30%, 대략 5000명까지 둘 수 있게 된다. 이 정도 규모면 전체 대의원 투표의 판세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
김한길 후보는 22일 광주 경선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정책대의원 5000명을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알아서 뽑는다는데 이 정도면 지역별 경선 현장투표를 바꿀 수 있는 숫자”라며 “잘못하면 통합진보당처럼 무리한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이해찬 후보쪽을 겨냥한 것으로 들린다.
한국노총은 지난 1월 당대표 경선 당시 ‘대의원급 선거인단’ 2000명을 배정받은 바 있다. 이번 당 대표 경선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정책대의원’들이 참여할 예정이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보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문제는 한국노총 이외의 다른 단체들이 선거가 임박해 정책대의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다. 정책대의원 관련 당헌에는 ‘노동 등 하나의 부문이 전체 대의원의 15%를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머지 15%에 대해서는 따로 규정이 없어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대준비위)는 여성·노인·장애인 단체 등 분야별로 정책대의원 비율을 배분하는 방안을 실무적으로 검토하고 있었는데, 특정 후보와 가까운 단체들이 정책대의원을 뽑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불공정 시비가 불거진 것이다.
전대준비위 쪽은 “24일 회의를 통해 결정하는데 특정 후보 쪽이 강하게 문제제기를 할 경우엔 어려운 것 아니냐”며 “당 지도부도 무리하게 추진하지 말자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2007년 여름 청와대 갔더니, 노짱이 흐느껴 울더라고요”
■ ‘상생 우수’ 삼성전자의 두 얼굴
■ 진보당원 20만명 정보 압수…검찰 ‘정당자유’ 흔든다
■ 중 CCTV 앵커 “외국인 쓰레기 소탕해야”
■ 어머니 버린 자식, 무덤까지 감싼 어머니
■ “2007년 여름 청와대 갔더니, 노짱이 흐느껴 울더라고요”
■ ‘상생 우수’ 삼성전자의 두 얼굴
■ 진보당원 20만명 정보 압수…검찰 ‘정당자유’ 흔든다
■ 중 CCTV 앵커 “외국인 쓰레기 소탕해야”
■ 어머니 버린 자식, 무덤까지 감싼 어머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