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공천위 어땠나
현씨, 당시 불미스런 사건 연루설
당 일부, 박후보 일방적 인사 비판
현씨, 당시 불미스런 사건 연루설
당 일부, 박후보 일방적 인사 비판
새누리당 공천헌금 의혹 파문이 일파만파로 커지면서, 4·11 총선 공천 과정의 투명성이 다시 입길에 오르내리고 있다. ‘비박 주자’인 김문수·김태호·임태희·안상수 후보는 3일 공천 기준으로 쓰인 여론조사 자료를 모두 공개하고 다른 공천 부정 의혹까지 규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새누리당의 19대 국회의원 공천 전체의 신뢰성에 의문을 던진 것이다.
당시 공직후보자추천심사위원회(공천위)는 진영아 ‘패트롤맘’ 회장이 허위학력 의혹 등으로 사퇴하면서 모두 10명으로 운영됐다. 당내 인사로는 권영세·현기환·이애주 전 의원이 참여했다. 공천위 구성을 놓고 당에선 초반부터 논란이 일었다. 세 사람이 모두 박근혜계였다. 공천위가 ‘현역 의원 하위 25% 컷오프’와 ‘현역 50% 이상 물갈이론’을 제기하면서 그 표적이 이명박계가 될 것이란 말이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현기환 전 의원의 공천위원 임명에는 박근혜계 안에서도 반대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현 전 의원은 지난해 말 “비상한 각오로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며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는데, 이것이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됐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기 때문이다. 현 전 의원은 처음엔 공천위원 제안을 고사했다고 한다. 그런데 박근혜 후보가 직접 그에게 전화를 걸어 “(공천위원은) 누가 해도 다 같다. (현 의원이) 강단 있는 분 아니냐”라며 공천위원을 맡아달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 테러’ 사건 이후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쇄신 드라이브’를 걸던 박 후보에겐 개혁 공천이 절체절명의 과제였다. 초선인데도 새누리당 텃밭인 부산 지역구를 포기하고 불출마를 결심한 현 전 의원에게 ‘높은 점수’를 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남 중진의원들을 겨냥한 불출마 압박 카드로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공천은 박근혜계가 주도했다. 공천위의 권영세·현기환 전 의원은 ‘권방호’·‘현종복’으로, 박근혜계 좌장 격인 최경환 의원은 ‘최재오’로 불렸다. 이명박 정부 초기인 18대 총선 공천을 좌우한 이명박계 실세 이방호 전 사무총장과 정종복 전 사무부총장, 이재오 의원에 빗댄 것이다. 부산 지역 공천은 박근혜계 실세인 서병수 의원과 현 전 의원이, 대구·경북 지역은 최 의원이 공천을 주무른다는 말도 심심찮게 나왔다. 최 의원은 “거짓말”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당내 일부 인사들은 박 후보의 인사 스타일에 문제를 제기한다. 논란과 반대가 있는 현 전 위원 같은 인물을 공천위원이라는 중요한 자리에 앉히려면 신중해야 하는데, 본인의 고집으로 강행했다는 것이다. 박근혜계 한 인사는 “우리가 그렇게 비판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와 박 후보의 인사가 뭐가 다르냐”며 “공천 헌금 의혹은 결국 박 후보에게 책임이 있다. 빨리 사과하고, 인사에서도 국민이 믿을 만한 변화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일본 에로영화 틀기 전 “나가주세요”
■ ‘기적의 입수’ 고래상어 2마리…입수 경위 논란
■ 노무현의 ‘영원한 친구’ 강금원 회장 별세
■ 땡볕 도심에 토끼·사슴 풀어놓고 친환경?
■ [화보] 막내 기보배가 해냈다
■ 일본 에로영화 틀기 전 “나가주세요”
■ ‘기적의 입수’ 고래상어 2마리…입수 경위 논란
■ 노무현의 ‘영원한 친구’ 강금원 회장 별세
■ 땡볕 도심에 토끼·사슴 풀어놓고 친환경?
■ [화보] 막내 기보배가 해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