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왼쪽)와 김무성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이 1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 중앙위 워크숍 시작에 앞서 꽃다발을 받아들고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검사·판사 출신 변호사 등으로 클린정치위 신설
박근혜 후보 비판·공격 법정대응 창구 맡을 듯
박근혜 후보 비판·공격 법정대응 창구 맡을 듯
새누리당 대선기구인 정치쇄신특위가 검사·판사 출신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클린정치위원회를 신설하고 박근혜 후보에 대한 각종 비판·공격에 법적 대응을 하기로 나서자 누리꾼들이 “정치쇄신이 국민들 고소하는 것이냐”며 비판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 11일 중앙선대위 인선을 발표하면서 정치쇄신특위 산하의 클린검증제도소위를 ‘클린정치위원회’로 격상하고, 위원장과 부위원장에 현 정치쇄신특위 위원인 남기춘 전 서울서부지검장, 판사 출신 이상민 변호사를 각각 선임했다.
또 검사 출신 한견표·박종민·김진태 변호사, 김정진 서울여대 교수 등 4명을 위원으로 임명했다. 클린정치위원에 법조인 출신이 5명, 현직 교수가 1명이다.
클린정치위원회는 각종 흑색선전을 수사기관에 고소·고발하는 것을 비롯해, 박 후보 친인척이나 측근 비리 의혹을 예방·점검하고 의혹이 이슈화됐을 때 수사의뢰를 하는 등 각종 의혹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원회는 이미 정수장학회 문제나 박 후보 올케인 서향희 변호사의 저축은행 관련 의혹 등에 대한 법률적 검토와 해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새누리당의 정치쇄신이 결국 박 후보 비판을 막는 것이냐며 비난하고 있다. 트위터 사용자 @histo****는 “‘유신’을 입에 담는 것조차 금지했던 긴급조치와 아주 흡사하네요. 새누리식 정치쇄신의 궁극 목표가 긴급조치 부활인가 봅니다”라고 비꼬았다.
또 다른 사용자(@jhohm****)는 “정치검사들 모아놓고 정치 쇄신한다고 하여 이해가 안 갔는데 이제 본색 드러내는 구나!”라고 비판했다. 진중권(@unheim) 동양대 교수도 “새누리당, 엽기적이네요. ‘정치쇄신위’가 자기들 쇄신을 위한 것인 줄 알았더니, 주로 국민을 고소하는 일을 하는 덴가 봐요”라고 말했다.
지난 8월 새누리당이 박근혜 후보의 정치·정책 구상을 담당한다며 정치쇄신특별위원회를 설치할 당시, 안대희 전 대법관을 위원장으로, 남기춘 전 서울서부지검장, 이상민 전 춘천지법 원주지원장을 위원으로 임명하는 등 9명 중 4명을 법조인 출신으로 구성했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법조인으로 편중됐다” 정치 영역을 법의 도마에 올려놓는다” 등의 비판이 있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정수장학회, 박정희 찬양행사에 10년간 1억4834만원 지원”
■ 손석희 교수, ‘킹메이커’로 3년만에 TV 출연
■ 새누리 김성주 “여성·청년 취업난, 일자리 안찾고 불평만…”
■ 헉! 우리아이 주민번호 뒷자리가 ‘4444’
■ 구글 지도에선 흐릿하게 보이는 청와대, 다음 지도엔 없는 까닭
■ 지금 담배 피운다면 노인성 백내장 위험↑
■ [화보] 주말에 억새풀 보러 갈까
■ “정수장학회, 박정희 찬양행사에 10년간 1억4834만원 지원”
■ 손석희 교수, ‘킹메이커’로 3년만에 TV 출연
■ 새누리 김성주 “여성·청년 취업난, 일자리 안찾고 불평만…”
■ 헉! 우리아이 주민번호 뒷자리가 ‘4444’
■ 구글 지도에선 흐릿하게 보이는 청와대, 다음 지도엔 없는 까닭
■ 지금 담배 피운다면 노인성 백내장 위험↑
■ [화보] 주말에 억새풀 보러 갈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