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가 15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경남도당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창원/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과거사 인식 논란’ 벗기 행보 가속
‘유신 사과 않다가 지지율 하락’
학습효과 얻어 이번엔 선제 대응
술렁대는 ‘PK 표심 단속’ 의도도
오늘 오후엔 4·19 묘지 참배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가 15일 유신 말기 발생했던 부마항쟁에 관해 유가족에게 위로를 표시한 것은 지난달 24일 했던 ‘과거사 기자회견’의 연장선에 있다. 대선을 앞두고 자신의 발목을 잡을 우려가 있는 과거사 문제에 대해 확실하게 고개를 숙임으로써 논란의 소지를 차단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박 후보는 지난달 기자회견 당시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 등으로 인해 상처와 피해를 입은 분들과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그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저의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정현 공보특보는 “오늘 발언은 지난번 인혁당 사건 사과 때 약속한 대로 박 후보가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하나씩 실천해 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는 16일 오후엔 서울 수유리의 국립 4·19 묘지를 참배하고 희생자와 유족, 피해자를 위로할 예정이다. 15일 마산 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경남선대위 출범식에 참석한 박 후보는 “내일이 부마민주항쟁 기념일”이라며 먼저 얘기를 꺼냈다. 박 후보의 이날 발언은 선제적으로 부마항쟁을 언급함으로써 더는 ‘아버지 시대’의 일로 논란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뜻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과거사 논란을 둘러싸고 벌어진 지난 두달 동안의 일에 박 후보가 충분히 학습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의 지난달 ‘과거사 사과’ 기자회견은 두달가량 논란이 이어지고 지지율이 떨어진 뒤에야 나온 것이어서 타이밍을 잃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박 후보가 부산·경남 지역의 표 단속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해석도 나온다. 부산 경남 지역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당 후보 지지율이 40%에 이르러 민심이 심상치 않다는 우려가 나온 터다. 한 새누리당 당직자는 “요즘 부산·경남 지역이 굉장히 술렁술렁하니까 여러가지로 표를 단속하는 차원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부마항쟁 관련 당사자들은 박 후보의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광수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사무처장은 “박 후보가 피해 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하고 명예회복을 시키겠다고 발언한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진일보한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인혁당 사건 등 헌법파괴행위에 대해 직접 사과를 하거나 유족들의 아픔을 진정으로 치유하기 위한 부마항쟁특별법 제정 등 구체적인 행위를 언급하지 않고 두루뭉술하게 넘어간 것은 선거를 맞아 소나기를 피하고 보자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다른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관계자는 “박 후보가 사과가 아닌 위로라고 했는데 이런 표현은 적절하지 않고, 대선후보로서 표심잡기에 불과하다”며 “만약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박근혜 후보와 새누리당은 책임지고 진상조사와 특별법 제정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연철 기자, 창원/최상원 기자,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정수장학회, 박정희 찬양행사에 10년간 1억4834만원 지원”
■ 손석희 교수, ‘킹메이커’로 3년만에 TV 출연
■ 새누리 김성주 “여성·청년 취업난, 일자리 안찾고 불평만…”
■ 헉! 우리아이 주민번호 뒷자리가 ‘4444’
■ 구글 지도에선 흐릿하게 보이는 청와대, 다음 지도엔 없는 까닭
■ 지금 담배 피운다면 노인성 백내장 위험↑
■ [화보] 주말에 억새풀 보러 갈까
학습효과 얻어 이번엔 선제 대응
술렁대는 ‘PK 표심 단속’ 의도도
오늘 오후엔 4·19 묘지 참배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가 15일 유신 말기 발생했던 부마항쟁에 관해 유가족에게 위로를 표시한 것은 지난달 24일 했던 ‘과거사 기자회견’의 연장선에 있다. 대선을 앞두고 자신의 발목을 잡을 우려가 있는 과거사 문제에 대해 확실하게 고개를 숙임으로써 논란의 소지를 차단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박 후보는 지난달 기자회견 당시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 등으로 인해 상처와 피해를 입은 분들과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그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저의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정현 공보특보는 “오늘 발언은 지난번 인혁당 사건 사과 때 약속한 대로 박 후보가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하나씩 실천해 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는 16일 오후엔 서울 수유리의 국립 4·19 묘지를 참배하고 희생자와 유족, 피해자를 위로할 예정이다. 15일 마산 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경남선대위 출범식에 참석한 박 후보는 “내일이 부마민주항쟁 기념일”이라며 먼저 얘기를 꺼냈다. 박 후보의 이날 발언은 선제적으로 부마항쟁을 언급함으로써 더는 ‘아버지 시대’의 일로 논란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뜻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과거사 논란을 둘러싸고 벌어진 지난 두달 동안의 일에 박 후보가 충분히 학습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의 지난달 ‘과거사 사과’ 기자회견은 두달가량 논란이 이어지고 지지율이 떨어진 뒤에야 나온 것이어서 타이밍을 잃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박 후보가 부산·경남 지역의 표 단속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해석도 나온다. 부산 경남 지역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당 후보 지지율이 40%에 이르러 민심이 심상치 않다는 우려가 나온 터다. 한 새누리당 당직자는 “요즘 부산·경남 지역이 굉장히 술렁술렁하니까 여러가지로 표를 단속하는 차원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부마항쟁 관련 당사자들은 박 후보의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광수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사무처장은 “박 후보가 피해 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하고 명예회복을 시키겠다고 발언한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진일보한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인혁당 사건 등 헌법파괴행위에 대해 직접 사과를 하거나 유족들의 아픔을 진정으로 치유하기 위한 부마항쟁특별법 제정 등 구체적인 행위를 언급하지 않고 두루뭉술하게 넘어간 것은 선거를 맞아 소나기를 피하고 보자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다른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관계자는 “박 후보가 사과가 아닌 위로라고 했는데 이런 표현은 적절하지 않고, 대선후보로서 표심잡기에 불과하다”며 “만약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박근혜 후보와 새누리당은 책임지고 진상조사와 특별법 제정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연철 기자, 창원/최상원 기자,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정수장학회, 박정희 찬양행사에 10년간 1억4834만원 지원”
■ 손석희 교수, ‘킹메이커’로 3년만에 TV 출연
■ 새누리 김성주 “여성·청년 취업난, 일자리 안찾고 불평만…”
■ 헉! 우리아이 주민번호 뒷자리가 ‘4444’
■ 구글 지도에선 흐릿하게 보이는 청와대, 다음 지도엔 없는 까닭
■ 지금 담배 피운다면 노인성 백내장 위험↑
■ [화보] 주말에 억새풀 보러 갈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