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생전에 한 풀어야
한-일정보보호협정 여건 고민을”
한-일정보보호협정 여건 고민을”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는 8일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대한민국 고유영토다. (어느 나라 영토인지를 따질) 협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독도 등의 문제를 일본과 어떻게 협의할 것이냐’는 일본 기자의 질문을 받고 이렇게 답했다. 또 “한국의 일본 식민화가 1905년 일본의 독도 침탈로부터 시작됐다는 아픈 기억을 한국민들은 갖고 있다. 건강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해 우방국가인 일본이 이를 직시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의 올바른 역사인식을 토대로, 두 나라의 관계가 발전하고 동북아 협력과 안정을 강화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말도 했다.
박 후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놓고도 “위안부는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부 장관의 표현에 따르면, ‘성노예’로 번역돼 있다. 어떤 이유에서도 합리화될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역사와의 화해를 한없이 기다릴 수는 없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모두 80대 중반을 넘었는데, 그분들 생전에 한을 풀어줘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밀실 추진 등의 논란을 빚었던 한-일 정보보호협정을 놓고 박 후보는 “절차적인 문제로 국민의 불신을 받았고, 한-일 관계의 특수성에 대해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노력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절차적 문제, 실질적 여건을 잘 만들어 나가면서 협정 여건을 진지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