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김주성 한국교원대 총장이 증인 선서를 마친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보수성향’ 교총도 사퇴 촉구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김명수 사수론’을 펴왔던 새누리당 의원들도 의지를 꺾고 있고, 금융감독원에서도 김 후보자의 불공정 주식거래에 대한 예비조사에 착수한 정황이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10일 김 후보자의 ‘통과’ 가능성을 자신하지 못했다. 전날 12시간 가까이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가 논문 표절, 연구비 부당 수령, 언론 기고문 대필, 주식거래 의혹 등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한 채 불성실한 태도로 자질 부족을 드러내면서 오히려 논란을 키웠기 때문이다.
교문위 새누리당 간사인 신성범 의원은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청문회로 논문 표절 등 (도덕성) 의혹에 자질론까지 불거졌다”며 “11일 교문위 전체회의를 열어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을 논의하는데, 여당 안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전까지는 “김 후보자에게 일할 기회는 줘야 한다”는 원칙론을 펴왔다.
다른 새누리당 소속 교문위원들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한 초선 의원은 “정권에 부담이 되더라도 국민이 지금 ‘교피아’ 해결은 물론 국가대개조를 할 수 있는 훌륭한 사회부총리를 원한다는 점을 우선 생각해야 한다”며 “김 후보자는 그런 자질과 비전을 전혀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후보자가 매제가 임원이던 회사의 미공개 정보를 주식 투자에 활용했다는 의혹을 받는 데 대해 최수현 금감원장은 10일 <한겨레>에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증거가 드러나면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 원장은 “(미공개 정보 이용) 정황이 의심되는 기간의 일은 형법상 공소시효가 끝나서 조사가 어렵고 시효가 되는 최근에는 정황이 분명하지 않아 조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한편, 보수 성향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도 이날 성명을 통해 “(김 후보자가) 장관에 임명된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직무수행이 어렵고, 공교육 강화 및 교육감과 소통·협력 등 갖가지 현안을 해결하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직접적으로 사퇴를 촉구했다.
서보미 김지훈 송경화 기자 spr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