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총회서 만장일치 추인
여성 비례 60%·지역구 30% 추천키로
여성 비례 60%·지역구 30% 추천키로
새누리당이 내년 20대 총선부터 국민들이 직접 후보를 뽑는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9일 의원총회를 열어 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가 제안한 국민공천제·석패율제 도입 등 선거제도 개혁안을 만장일치로 추인했다. 새누리당은 이런 내용을 담은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개정안을 내놓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새정치민주연합과 협상에 나설 방침이다. 새정치민주연합도 국민공천제의 탄력적 도입과 전략공천 비율 축소 등을 담은 공천혁신안을 다음주 공개할 계획이다.
이날 새누리당 의총에서 추인된 혁신안을 보면, 20대 총선부터는 당 공천심사위원회가 아닌, 선거권을 가진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예비선거에서 후보자가 선출된다. 예비선거일은 선거일 전 60일 이후 첫번째 토요일로 정했다. 또 비례대표의 60%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고, 지역구에서도 여성 비율을 30% 이상으로 규정해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선거보조금을 감액하도록 했다. 정치 신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현 당협위원장은 예비선거일 60일 전에 사퇴하도록 했고, 예비후보자의 사전선거운동 기간은 현재 ‘선거일 전 120일’에서 ‘1년’으로 대폭 늘렸다. 지역주의 약화를 위해 석패율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석패율제는 한 후보자가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 출마하는 것을 허용하고 중복 출마자 중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로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뽑는 제도다.
새정치연합은 국민공천제 도입에는 찬성하지만, 원하는 정당과 가능한 지역에 한해 시행하자는 입장이다. 원혜영 공천혁신추진단장은 “소수정당 사정이나 여야의 지역별 당세도 고려해야 한다. 선관위의 주관 아래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정당이 합의해 시행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공천혁신안에는 △전략공천 20% 유지 △현역의원 평가제 도입 등의 내용도 포함돼 있다. 원혜영 단장은 “평가와 공천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별도 위원회를 구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혜정 이세영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