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새누리당 친박근혜계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이 연 세미나에 참석해 ‘노동개혁’을 주제로 특강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국가경쟁력강화 포럼’
김대환 노사정위원장 초청
친박의원 40여명 북새통
유승민계 의원들도 참석 눈길
김대환 노사정위원장 초청
친박의원 40여명 북새통
유승민계 의원들도 참석 눈길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주요 의제로 손꼽히는 ‘노동시장 개편’을 위한 여론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회법 개정안 논란에서 비롯된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파동 이후 내부 결속을 다지며 당 전면에 나서는 모양새다.
새누리당 친박 의원들의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은 17일 오전 국회에서 김대환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을 초청해 강연회를 열고, 박근혜 정부의 노동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 70주년 8·15 경축사에서 집권 후반기 주요 의제로 노동시장 개편 등을 제시한 데 따른 지원 사격 격이다. 이 포럼은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이 총괄간사를 맡고 있다. 윤 의원은 이날 강연회에서 “노동개혁은 선택이 아닌 당위의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친박계 의원 40여명이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뤘다. 특히 유승민 전 원내대표 체제에서 원내부대표단으로 활동하며 ‘유승민계’로 분류돼 온 김명연, 김제식, 유의동, 홍철호 의원도 참석했다. 이날 모임은 표면적으로는 노동 개편 강연회였지만, 박 대통령 집권 후반기를 앞두고 친박 내부 결속력을 강화하고 세 과시를 하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포럼은 박 대통령에게 불리한 국면 때마다 전면에 나서 지원 사격을 이어왔다. 지난 6월 ‘국회법 사태’가 터졌을 때도 이들은 제정부 법제처장을 불러 긴급 세미나를 열어 “국회법 개정안은 위헌 소지가 있다”고 뜻을 모았다. 포럼 소속 일부 의원들은 이 자리를 기점으로 유승민 당시 원내대표의 사퇴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은 또 지난해 김무성 대표가 여권 내 차기 대선주자 1위를 달리며 중국 상하이에서 이른바 ‘개헌 봇물’ 발언을 하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어 ‘반기문 대망론’을 띄우기도 했다.
친박들은 공천제도, 북한군 비무장지대 지뢰 도발 등 최근 현안에 대해서도 김무성 대표를 주축으로 한 당내 ‘비박’(비박근혜)계와 정면으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대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국민공천제)에 대해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지뢰 도발 사건과 관련해 김 대표를 비롯해 유승민 의원, 정두언 의원 등 비박 의원들이 거론한 군 책임론에 대해서도 “북한에 책임을 물어야지, 우리 군 책임을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주장했다. 친박 이정현 최고위원 역시 지난 13일 군 책임론에 “지금은 아군 진지에 혀로 쓰는 탄환인 ‘설탄’(舌彈)을 쏴서는 안 된다”며 비박들을 겨냥한 바 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