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참석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문재인-안철수-박원순 공동지도부’로 총선을 치르자는 구상이 어그러지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문 대표 쪽에선 ‘사퇴 뒤 전당대회 공동 출마’라는 안철수 전 대표의 제안에 부정적인 기류가 강해, 문 대표가 ‘정면돌파’란 강경책을 선택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30일 오후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야당 혁신 토론회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광주/연합뉴스
문 대표는 3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혁신의 출발은 혁신위의 혁신안을 실천하는 것”이라며 “혁신위 안조차 거부하며 혁신을 말하는 것은 혁신의 진정성을 인정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혁신은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으로, 모두에게 두려운 일이다. 그러나 그런 결기를 갖지 못하고 과거에 안주해선 내년 총선에 못 이긴다”고 강조했다. 전날 안철수 의원의 혁신전당대회 제안을 겨냥한 발언이 아니냐는 말들이 나왔다. 하지만 언론들이 문 대표의 이 발언을 들어 “안 전 대표의 제안을 거부한 것”이라고 보도하자, 문 대표 쪽은 즉각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돌려 “당 지도체제 논란과 상관없이 현재 진행중인 혁신안이 당초 일정대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을 뿐 과도한 해석”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그렇지만 안철수 의원이 문안박 연대를 거부한 직후 문 대표가 내놓은 공식 발언이 ‘혁신안의 실천’이라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문 대표는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가 구성될 경우 본인이 전폭적으로 힘을 실어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당무감사원 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거라고 우려하고 있다. 문 대표의 한 측근은 “자리에 연연해서가 아니라 혁신안 관철이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 쪽은 경쟁형 전당대회가 분열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내다본다. 또다른 참모는 “안 전 대표의 말대로 지금 전당대회를 하게 되면 주류-비주류가 한판 붙자는 것인데 그건 답이 아니다”라며 “문 대표는 지금 전당대회를 받을지 말지를 고민하는 게 아니라, 문안박 연대가 무산된 뒤 어떤 절차를 밟아 총선을 치러야 하는지 그 대안을 고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안 의원이 문 대표의 사퇴를 요구한 데 대해선 “지금 그냥 사퇴해버리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