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남 의원
로스쿨 아들 구제 압력 의혹 관련
대학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졸업시험에서 낙방한 아들을 구제해달라며 학교에 압력을 넣은 의혹을 받고 있는 신기남 의원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당무감사원이 6일 엄중한 징계를 요구하기로 했다.
김조원 당무감사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전원회의를 열어 이렇게 결론내린 뒤 “집권 여당(열린우리당) 의장을 지낸 현역 4선 의원이라는 위치에서 볼 때 신 의원이 학교를 방문하고 의원회관에서 법학전문대학원의 해명을 듣는 것은 아버지로서의 이의제기권을 넘어 학사 운영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서울의 한 로스쿨 3학년에 재학 중인 아들이 졸업시험에 탈락해 변호사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잃게 되자, 학장과 부학장을 만나 청탁을 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같은 당 동료 의원이 학교 쪽에 전화를 걸어 이 문제를 논의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무감사원 관계자는 “전화를 걸었던 동료 의원에 대해선 시점상 오해의 소지가 있지만 내용·방식에서 별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당무감사원은 또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 카드 결제 단말기를 두고 시집을 판매해 논란을 빚은 노영민 의원에 대해선 추가 소명 자료를 받아본 뒤 8일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노 의원은 이날 전원회의에 자진 출석해 소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당규상 징계는 경고, 당직자격정지, 당원권정지, 제명 등의 단계로 나뉘는데, 당무감사원이 징계 요구를 하면 윤리심판원이 징계 여부, 수위를 의결하고 최고위원회에 이를 보고하게 된다. 물러날 뜻을 밝혔던 안병욱 윤리심판원장은 최근 사퇴 의사를 철회하고 윤리심판원 재정비에 나섰다. 당무감사원의 조사를 받은 신기남, 노영민 두 의원은 공교롭게도 문재인 대표와 가깝거나 최측근이어서, 이들이 어떤 처분을 받느냐가 문 대표의 혁신 의지를 확인하는 잣대로 여겨지고 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