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자 회동 파장
‘혁신형 비대위원장 외부영입’
‘당대표 권한확대 지도체제 전환’
친박-비박계 요구 절충 모양새
당내 정당성·절차 훼손 비판 봇물
“정치시계 30년전으로 되돌렸다”
“절망적 현실” “의총추인 거쳐야”
‘혁신형 비대위원장 외부영입’
‘당대표 권한확대 지도체제 전환’
친박-비박계 요구 절충 모양새
당내 정당성·절차 훼손 비판 봇물
“정치시계 30년전으로 되돌렸다”
“절망적 현실” “의총추인 거쳐야”
4·13 총선 뒤 40여일의 지도부 공백 사태를 타개하려 새누리당이 선택한 방법은 결국 계파 수장들의 ‘밀실 합의’였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비박, 친박이라는 말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했지만 정작 친박과 비박의 수장인 최경환 의원과 김무성 전 대표를 만나 당 수습책을 짬짜미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정 원내대표는 24일 <한겨레> 통화에서 “내가 3자 모임을 제안했다”며 “혁신 비대위를 꾸리고 비대위원장을 외부에서 새로 영입해 그분이 새 비대위원들을 구성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셀프 유배’를 내세우며 당내 공론의 장에 나타나지 않았던 김 전 대표와 최 의원은 반목 속에 당이 계속 방치되면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당의 유일한 선출직 지도부인 원내대표와 자리를 함께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3인방이 합의한 내용은 친박과 비박계의 주장을 절충한 것이다. 집단 지도체제에서 대표의 권한을 강화한 단일 집단지도체제로 바꾸자는 내용은 정병국 의원을 비롯한 비박계가 주장해온 내용이다. 세가 약한 비박계는 최고위원회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친박을 막으려 대표 권한 강화가 필요하다는 논리를 세웠다. 최고위원회는 그동안 당 안팎에서 “계파간 대리전의 자리가 돼 중구난방으로 갈등을 노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혁신형 비대위원장을 외부에서 영입하고 그가 비대위원을 새로 구성하도록 한 것은 친박계의 주장이다. 김선동·김태흠·이장우 의원 등 친박계 초·재선 의원들은 이혜훈·김세연 등 비박계 비대위원들을 반드시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정 대표는 특히 비대위원장에 관해 “친박과 비박계가 합의할 수 있는 인물로 선정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스스로 비대위원장을 영입하는 책임과 권한을 포기하고 계파간의 타협을 사실상 용인한 것이다. 정 대표는 그동안 “당의 중지를 모아 정한 비대위원장과 비대위원 명단을 바꿀 수는 없다”고 말해왔다.
당내에서는 절차적 정당성을 둘러싼 격앙된 비판과 개탄이 쏟아지고 있다. 정 원내대표는 이달 초 취임 뒤 당선자 총회, 중진의원 모임, 상임고문 회의, 설문조사 등을 통해 당 중지를 모으는 모양새를 취했다. 그러나 다수파인 친박의 보이콧 속에 비대위와 혁신위 출범이 좌절되자 결국 뒷짐지고 있던 계파 수장들에게 손을 내미는 모순을 보였다.
김세연 의원은 “아무런 정당성이나 대표성이 없는 회동을 통해 결론을 다 내린 것처럼 하는 것은 무리다”라며 “우리 정치가 2016년이 아니라 한 30년 전인 1980년대로 회귀한 듯한 느낌을 준다. 절차상의 하자가 너무 커 내용은 논의할 대상도 안 된다”고 말했다. 또다른 서울 지역 재선 의원도 “정말 너무 어이가 없어 말도 나오지 않는다. 그럼 그들은 당과 계파의 대주주들이고 우리는 그저 들러리에 바지저고리냐”며 “정치를 이렇게 희화화해도 되느냐. 이건 반드시 의원 총회의 추인을 거쳐야만 하는 사안이다”라고 비판했다.
성연철 이경미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