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새누리당 대표 주재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일한 비박계인 강석호 최고위원이 자리로 향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새누리당 새 지도부가 친박근혜계로 채워진 첫날, 친박계는 기세등등하고 비박계는 기운 빠진 모습이 그대로 드러났다.
10일 당사에서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도부에서 유일한 비박계인 강석호 최고위원은 “빠른 시간 안에 체제가 잡히면 국민과 당원이 의문을 갖는 사항 하나하나를 밝혀야 하고 투명하게 정리할 필요 있다”고 말했다. 최경환·윤상현 등 친박 핵심 의원들의 공천개입 녹취록 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한 것이다. 그러나 이정현 대표는 이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강 최고위원의 발언에 대해 “일단은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 국가 안위 문제에 집중하면서 그밖의 다른 현안들은 서둘지 말고 시간적 여유를 갖고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녹취록 문제는 사실상 묻어두겠다는 뜻이다. 더이상의 논쟁은 없었다.
당 지도부는 앞으로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최고위원회의 때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발언만 취재진 앞에 공개하고, 나머지 최고위원들은 정책 이슈가 아닌 당내 현안 등에 관해서는 공개석상의 발언을 자제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두고 ‘이견’의 표출을 제한하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이 대표는 당직 인사도 서두르지 않고 사람과 업무를 제대로 파악할 때까지 기존 체제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전날 선거결과에 자신감을 되찾은 친박계는 비박계를 집중 공격했다. 홍문종 의원은 <평화방송>(P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권주자라고 생각하는 김무성 전 대표나 오세훈 전 시장은 비박계를 지원했지만 (당원·국민에게) 먹혀들지 않았다는 사실을 잘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장우 최고위원도 <와이티엔>(YTN)라디오에서 “비박 후보 단일화가 국민에게는 좋지 않게 보였다”고 말했다.
비박계는 반박 없이 침묵했다. 전남 목포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을 방문한 김무성 전 대표는 전당대회 결과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에게 “당을 혁신적으로 바꿀 수 있는 비주류가 대표가 되길 바라고 지원했지만 국민은 또 다른 선택을 했다. 국민 뜻을 존중하고 현 지도부가 잘해나가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비박계의 한 중진 의원은 “이정현 대표와 친박 최고위원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내년 4월 재보궐선거 때까지다. 그때까지는 허니문 기간”이라고 말했다. 당분간 조용히 있겠다는 것이다. 당 일각에서는 ‘독박(독자적인 친박)’이라고 불리는 이정현 대표 성향상 오히려 최고위원회에 포진한 ‘강성 친박’들과의 견해차로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