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청와대에서 여야 3당 대표와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 대통령,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 청와대사진기자단
북한의 5차 핵실험과 위기의 민생·경제 상황 속에 12일 청와대에서 마주 앉은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는 국민들 앞에 ‘빈손’만 내보였다. 1시간55분간의 회동에서 박 대통령은 야당 대표에게 “초당적 협력”을 당부하면서도, 야당의 요구는 단 하나도 수용하지 않았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북핵 해법으로 “제재와 대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박 대통령은 “지금 북한과 대화하는 것은 북한에게 시간벌기만 되는 것”이라며 ‘더 강력한 대북 제재와 응징’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사드에 대해서도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자위권 차원”이라며 기존 태도를 유지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야당 대표들에게 “북한은 추가 도발도 예고하고 있는데 한반도에 전쟁의 위험이 올 수도 있다”며 “초당적인 자세로 협력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반면, 박 대통령은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이 북핵과 사드 해법을 논의할 ‘여야정 안보협의체’ 구성을 제안하자, “안보는 근본적으로 대통령 중심으로 결정되는 사안”이라며 거절했다. 박 대통령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퇴 요구에 대해서도 “(검찰) 특별수사팀에서 수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지켜보겠다”며 당장 우 수석을 교체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검찰·사법 개혁에 대해서는 “(검찰과 사법부가) 자체적으로 한다고 하니, (마련된 개혁안에 대한) 국민들의 눈높이를 보고 하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기간 연장 또한 “특별법 취지와 재정적, 사회적 부담을 생각해 결정하겠다”며 답변을 미뤘다. 박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지난 5월13일 회동 때는 ‘여야정 민생협의체 구성’ 등 6개항의 합의문을 내놨었지만, 이날은 최소한의 공동발표문조차 내놓지 못했다. 윤관석 더민주 수석대변인은 “다시 한번 불통을 느꼈다. 소통의 시대에 만사불통이었다”고 말했다.
석진환 최혜정 기자
soulfa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