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복귀 저지’ 주도
청 “당장 복귀 쉽지 않을 것” 반응
여론 악화와 당내 균열 등 조급한 상황
지도부와 충분한 교감 없이 지른 듯
사흘째 단식을 이어간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28일 오전 국회 본청 당대표실에서 자료를 읽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새누리당이 28일 이정현 대표의 국정감사 복귀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이제 와서 당장 철수할 수 없다”는 의원들의 강한 반발 때문이었다. 이 대표의 제안이 당 원내지도부나 의원들과 충분한 교감 없이 이뤄진 것이란 점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대표는 왜 자신의 리더십에 큰 상처만 낸 ‘돌발 제안’을 한 것일까. 의원들은 “이 대표가 당에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한 말”이라고 그를 감쌌고, 이 대표도 “체력이 다되고 더 말을 못할 것 같아 충정으로 남긴 말”이라며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날까지 이 대표가 “정세균 의장의 사퇴 없이 복귀는 없다”는 강경한 태도였던 것에 비춰보면 설득력이 없다.
당 안팎에선 국감 보이콧에 대한 여론 악화와 당내 균열 등이 겹치면서, 조급해진 이 대표가 지나치게 앞서나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실제 이날 오전 새누리당 분위기는 어수선했다. 전날 당 소속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이 국감 참여를 선언한 데 이어, 대선 주자 중 한 명인 유승민 의원도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간담회에서 “당 지도부가 국감을 바로 수행하는 결단을 내렸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당내 비주류와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커지는 ‘국감 복귀론’을 무작정 억누르기도 힘든 분위기로 흘러가던 상황이었다. 자신의 단식이 국감을 보이콧하고 있는 새누리당의 퇴로를 차단하고, 협상의 여지도 없애버렸다는 비판도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
이 대표의 이날 돌발 발언이 외부와 별다른 상의를 거치지 않은 ‘나홀로 결정’일 가능성도 크다. 친박근혜계 핵심이자 당의 최다선인 서청원 의원도 ‘타이밍’을 문제 삼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청와대 내부에서도 이 대표의 발언 뒤 “당장 복귀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사전교감이 없었다는 점을 에둘러 드러냈다.
무엇보다 이 대표는 국정감사를 책임지는 당 원내지도부와도 충분한 상의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는 “당 지도부의 투쟁 방향에 따를 수 없으면 무소속 정치를 해야 한다”, “결정된 당론에 따르지 않으면 징계사유가 된다” 등 당의 ‘국감 거부’ 방침을 따르지 않는 의원들에 대한 강력한 경고가 쏟아졌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국감 보이콧이란 단일대오에서 가장 먼저 이탈한 것은 이 대표가 됐고, 이미 한차례 출렁인 뒤 가까스로 추스른 내부 균열은 회복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디스팩트 시즌3#21_국회파행 부른 '황제 전세' 김재수와 미르재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