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추천” 3인 오르내리지만
김병준·김종인·손학규 손사래
야 “여권이 물색 자체가 부적절”
이홍구·고건·한덕수 등 거론하며
박대통령 책임총리로 봉합 전망도
김병준·김종인·손학규 손사래
야 “여권이 물색 자체가 부적절”
이홍구·고건·한덕수 등 거론하며
박대통령 책임총리로 봉합 전망도
‘최순실 국정 농단’ 파문의 수습책이 논의되는 정치권 한편에서 차기 국무총리 인선을 둘러싼 하마평이 한창이다. 시기와 단계별 이견은 있지만 여야 모두 거국중립내각 쪽으로 가닥을 잡은 탓에, 새로운 체제에 적합한 인물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31일 정치권에선 전날 새누리당이 거국중립내각을 당론으로 채택하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추천했다는 이들이 회자됐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와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고문 등의 이름이 오르내렸다. 새누리당으로선 모두 중량감을 가진 야권 성향의 인물들이라는 점을 고려한 듯 보이지만, 정작 야권에선 “국정농단에 책임이 있는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총리 후보자부터 물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반발했다. 또 거론된 3명 모두 총리직을 맡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일부에선 “사태 수습도 못 하면서 후보자 이름부터 거론하며 야권을 들쑤셔 내분을 부추기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새누리당의 거국중립내각 구성 촉구에 침묵하는 청와대의 태도를 보면, 야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총리 교체를 시도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청와대 안팎에선 이르면 주말께 총리를 정해 발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치색이 짙지 않고 야당도 반대하기 어려운 인사를 지명해 국무위원 제청권과 해임건의권을 실제 행사하게 하는 ‘책임 총리’ 수준에서 사태 봉합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이홍구·고건·한덕수 전 총리, 이헌재 ·진념 전 경제부총리,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관료 출신 인사나 김황식 전 총리,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등 법조계 인사 등이 후보군으로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민심이 여야 합의가 전제되지 않은 박 대통령의 독자적인 총리 지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박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박 대통령이 ‘여야 합의로 총리 후보자를 추천해달라’고 공을 국회에 던질 경우엔, 현 황교안 총리 체제가 예상보다 오래 갈 수도 있다. 야당은 여전히 ‘선 진상규명과 대통령 조사, 대통령의 탈당을 전제로 한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