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주자 8인 첫 회동 표정-
20일 국회에서 모인 야권 대선 주자들은 “대통령의 퇴진과 탄핵에 따른 국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 및 과도내각 구성 등 세부 수습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야 3당에 요청한다”고 뜻을 모았다. 참석자들은 이 문구를 작성하며 온도차를 드러냈다고 한다. 총리와 내각구성 문제를 논의하는 게 국민들에겐 청와대와 ‘임기 보장’을 전제로 타협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을뿐더러, 자칫 이 문제로 ‘촛불 전선’을 흐트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회동 뒤 통화에서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정리를 잘 했다. 지금 총리 추천을 논의하는 것은 (탄핵이 아닌) ‘대통령 2선 후퇴’를 전제로 그 문제를 논의하던 상황과 다르고, 탄핵 국면으로 가면 국민 불안을 다독이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총리·내각 문제를 함께 논의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분위기를 이끌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합의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선 참석자 간 전망이 엇갈린다. 김부겸 의원은 “대선주자들이 다음 단계로 나갈 물꼬를 터줬다. 지도부끼리 원만한 합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이재명 성남시장은 “총리나 내각 문제는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렵다. 어디까지나 요구사항일 뿐 당장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쪽 관계자도 “총리 추천은 탄핵 추진 과정에서 나올 수 있다는 취지일 뿐 당장 논의할 사안은 아니다. 지금 이 문제로 넘어가면 감당이 안 된다”고 부정적 견해를 거두지 않았다.
8명이 모인 이날 회동을 위해, 실무진은 오해를 피하기 위해 좌석 배치나 발언 순서를 ‘가나다’ 순으로 정했다.
이세영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