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전 대표 등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위원회 회의에서 정국 현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비박근혜계가 주도한 비상시국위원회가 13일 ‘발전적 해체’를 선언했다. 친박근혜계가 이날 발족하는 ‘혁신과 통합을 위한 보수연합’에 맞서, 더 확장된 비주류 모임을 만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비상시국위 대변인 황영철 의원은 이날 오전 비상시국위 회의를 마친 뒤 “탄핵 표결 결과 비상시국위 구성원을 넘어서는 많은 의원들이 저희들의 뜻에 동참한 것을 확인했다”며 “더 많은 의원들과 더 많은 (당협)위원장들과 당원들과 함께 하고자 오늘로서 해체하고 발전적으로 의원 확대를 포함한 새 모임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친박계의 ‘혁신·통합 보수연합’이 70~80명 규모로 발족하기로 하자, 비박계도 이에 맞선 세 불리기에 나선 셈이다.
비박계는 의원총회 소집도 요청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12일 사의를 표명한 점을 놓고, 이정현 대표 등 친박계 지도부의 동반 사퇴 문제 등을 따지기 위한 것이다. 황 의원은 “이정현 대표는 원내대표와 함께 동반퇴진하겠다고 이야기해왔다”며 이 대표 등 친박 지도부의 동시퇴진을 거듭 강조했다. 황 의원은 또 “원내대표 사의 표명 뒤 원내대표단 구성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물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 원내대표의 사퇴로 새누리당은 일주일 안에 새 원내대표를 뽑아야 한다. 차기 원내대표 선출은 대통령 탄핵 이후 친박계와 비박계의 첫 대결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탈당·분당보다는 당내 개혁에 힘쓰겠다는 비박계는 “당의 재산 때문에 탈당을 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고 강력히 항변했다. 황 의원은 “비상시국위원회는 현재 있는 새누리당 재산의 단 1원도 가질 생각이 없다. 당 청산과 해체를 비롯한 혁명적인 당쇄신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새누리당 재산을 국민과 사회에 헌납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당 재산과 관련한 욕심 때문에 탈당·분당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비상시국위원회에는 결코 적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후의 선택으로 탈당하게 될 경우 “30명 규모가 될 것”이라고 황 의원은 짚었다. 그는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고, 정부보조금은 다시 배분된다”며 “탈당·분당은 재원 싸움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언니가 보고 있다 44회_새누리 비주류의 입, 황영철의 고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