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인 위원장 친위 쿠데타, 사사오입 개헌 버금”
인명진, 상임전국위 방해에 “자유당 때나 있던 일”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가운데)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및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적청산을 둘러싼 새누리당 비대위와 ‘핵심 친박계’의 공방이 60년의 세월을 거슬러 이승만 대통령 시절 벌어진 일까지 끄집어내는 ‘복고풍’으로 흐르고 있다.
핵박계(핵심 친박계)를 대표해 결사항전을 벌이고 있는 서청원 의원이 지난 9일 열린 새누리당 상임중앙위원회의 정족수 논란을 ‘사사오입 개헌’에 비유한 게 시작이었다. 새누리당은 이날 상임중앙위 정족수 23명을 가까스로 채워 비대위를 구성했는데, 인명진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은 이날 참석자 과반의 정족수를 맞추기 위해 51명이던 상임중앙위원 가운데 6명을 면직 처리해 정원을 45명으로 줄였다. 이에 서 의원은 “인 위원장의 ‘친위 쿠데타’이자, 4·19혁명’의 원인이 되었던 ‘사사오입 개헌’에 버금가는 북쪽 공산당에서나 있을 수 있는 폭거가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인명진 위원장도 1950년대 정치 상황을 빗대어 서 의원의 행태를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10일 아침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어제 상임전국위 개최하는 과정 중에서 여러 가지 불미스런 일이 있었다”면서 “세상에 어떻게 이런 일이 있나, 자유당 때나 있었던 일”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는 이어 “(서 의원 쪽이) 중앙상임위원들의 위원회 참석을 막고, (회의장에) 들어오는 사람을 못 들어오게 하고, 붙잡고 앉았고, 집에 가서 어디로 데리고 나가고…. 저도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다”면서 “아직 정신 차리지 못하고 계파주의, 패거리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분들”이라고 날을 세웠다.
인 위원장은 이어 서청원·최경환 의원 등 핵박계를 겨냥해 오는 설 연휴 전까지 스스로 탈당하지 않으면 강제로 출당시키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이날 아침 <시비에스> 라디오에 나와 “설이 많은 의견이 교환되는 용광로인데, 그 전에는 해결을 봐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민이 그렇게 말씀하시면. 그렇게 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