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과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및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공백 상태였던 윤리위원회를 새로 구성했다. 자진탈당을 거부하는 서청원 의원 등 친박근혜계 핵심 인사들을, 윤리위의 제명 절차를 통해 청산할 채비를 한 것이다.
인명진 비대위원장은 이날 윤리위원장에 정주택 전 한성대 총장, 부위원장에 최봉실 <장애인뉴스> 발행인을 인선하는 등 윤리위원 9명을 내정했다. 나머지 위원에는 김종식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융합특위위원장, 이종환 <월드코리안신문> 대표, 안상윤 전 <에스비에스>(SBS) 논설위원, 김지영 안경회계법인 대표, 김은희 전 서울흥사단 도산봉사단 운영위원장, 류여해 전 대법원 재판연구관, 황대성 전 국민권익위원회 전문위원이 내정됐다. 당내 인사는 배제되고 주로 시민사회와 언론계 출신으로 채워졌다.
지난달 이진곤 전 윤리위원장을 비롯한 윤리위원 7명은 국회에서 탄핵된 박근혜 대통령 징계 절차를 진행하려 했으나, 이정현 당시 대표가 이를 막으려고 친박계 인사 8명을 일방적으로 윤리위원으로 충원했다. 이진곤 위원장을 비롯한 윤리위원 전원은 당 지도부에 반발하며 사퇴했다.
인명진 위원장은 윤리위를 통해 서청원 의원을 비롯한 친박 핵심 인사에 대해 출당 등 중징계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인 위원장은 전날 ‘반성·다짐·화합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서청원 의원과 같이 책임져야 할 분들이 더러 있는데 언론에 안 나온다”고 말했다. 당내에는 인 위원장이 최소한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의원 3명을 중징계 대상으로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이 많다. 한편으로 인 위원장은 12일 “잘못을 모른다는 사람이 있고, 잘못했고 고치겠다는 사람이 있다. 고치겠다는 사람은 같이 가야 한다”며, 이정현·정갑윤 의원의 탈당계를 반려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인 위원장은 다만 박 대통령 징계 문제는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대통령 지지층을 안고 가는 대신에 친박 핵심을 잘라내는 것으로 쇄신하는 모습을 보이겠다는 전략이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