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조기 대선 관심 높고 참여방법 늘었기 때문”
해외에서 ‘5·9 대선’ 참여하겠다고 신고·신청한 유권자가 29만7919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재외선거 시행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재외선거 신고·신청 기간이 지난 제18대 대통령선거 당시 91일보다 70일이나 짧은 21일에 불과했지만, 오히려 재외 유권자의 참여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1일 “한국시각 31일 오후 1시 기준으로 제19대 대통령선거의 재외선거에 국외부재자 24만4499명, 재외선거인 5만3420명(영구명부 등재자 4만466명 포함) 등 총 29만7919명이 신고·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추정 재외선거권자 197만여명의 15% 수준으로, 지난 제18대 대통령선거 때 22만2389명이 신청한 것에 비해 33.9%포인트가 늘어난 수치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15만4217명이 신청한 것에 견줘서는 93.1%포인트가 증가했다.
공관별로는 일본대사관이 1만6060명으로 가장 많고, 뉴욕총영사관이 1만4194명, 로스앤젤레스총영사관 1만3697명 순이었으며, 국가별로는 미국 6만9495명, 중국 4만3977명, 일본 3만8625명 등 3개 나라가 전체의 51.1%를 차지했다. 중앙선관위는 4월5일부터 9일까지 5일간 재외선거인명부 등을 작성한 뒤 열람 및 이의신청 기간 없이 4월9일에 명부를 확정한다. 중앙선관위는 신청자 증가와 관련해 “조기 대선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인터넷 신고·신청 허용, 영구명부제 도입, 귀국투표 보장 등 투표참여 방법이 지속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라면서 “22개 공관에 파견된 재외선거관의 적극적인 활동과 유튜브·구글·페이스북 광고 등 다양한 홍보활동도 효과를 봤다”고 설명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