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비밀계약 의혹’ 문건 공개
해고자들이 문제 삼으려하자 재고용했다 주장
재입사한 당사자 “문 아들 낙하산 소문 있었다”
권재철 전 고용정보원장 “문준용씨 채용과 무관”
해고자들이 문제 삼으려하자 재고용했다 주장
재입사한 당사자 “문 아들 낙하산 소문 있었다”
권재철 전 고용정보원장 “문준용씨 채용과 무관”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2007년 초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아들인 준용씨의 ‘특혜채용’ 의혹이 공론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를 문제 삼는 해고자들과 ‘비밀계약’을 맺어 재입사시켰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용주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단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용정보원이 ‘문준용 낙하산 인사’로 부당해고된 직원들이 ‘문준용 특혜채용’을 공론화하는 것을 무마하기 위해, 애초의 재계약 불가 방침을 번복해 40여일이 지나 ‘비밀계약’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단장에 따르면 고용정보원은 2006년 12월 중순께 기존 계약직 7명을 비롯해 준용씨 등 일반직에 응시한 합격자 9명을 발표했고, 이어 12월29일 계약직 직원 가운데 강아무개씨 등 14명을 해고했다. 하지만 강씨 등이 단병호 당시 민주노동당 의원실과 준용씨 ‘낙하산’ 의혹을 논의하는 등 공론화 움직임을 보이자 부담을 느껴, 결국 뒤늦게 ‘비밀각서’를 작성해 이들을 다시 채용했다고 이 단장은 주장했다. 이 단장이 공개한 ‘계약해지자 재계약 등 관련’이란 제목의 문건에는 고용정보원 황기돈 기획조정실장과 계약해지자 대표의 서명이 적혀 있고, “일체의 계약해지와 관련된 외부활동을 중단하기로 합의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당시 계약 해지자의 대표 격인 강아무개씨가 참석했다. 강씨는 “(2006년 12월) 당시 사내에서 돈 소문이 ‘문재인 비서실장 아들이 온다’라는 얘기와 (다른 채용자인 김아무개씨는) ‘노동부 고위층의 친인척’이란 소문이 있었다”며 “누굴 자르고 온다는 게 아니라 낙하산을 타고 두 명이 온다는 내용 정도였고, 그 사람들이 옴으로써 누가 계약해지가 된다는 생각은 못했다”고 말했다. 다만 강씨는 ‘고용정보원에서 문준용 얘길 하지 말라고 들은 적 있나’라는 물음에는 “(낙하산 채용이) 사실이라고 해도 (고용정보원이) 얘기는 안 했을 것”이라며 “저희가 활동을 하고 (준용씨 채용이) 이슈가 되면서 그걸 무마하기 위해 급하게 처리를 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강씨가 이날 공개한 당시 사건 일지에는 “(단병호 당시 민주노동당 의원실의) 이아무개 보좌관이 이번 인사에 대한 지침, 문준용 프로필 등을 요청해서 고용정보원에 암묵적인 압력을 행사할 예정”이라고 적혀 있다. 이 전 보좌관은 통화에서 “너무 오래전 일이라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런 주장에 대해 황기돈 당시 실장은 “당사자들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해 법적인 일로 왔다갔다 하는 것보다는 합의하는 게 낫겠다고 판단했을 뿐 준용씨 채용과는 전혀 별개의 사안”이라고 말했다. 권재철 전 고용정보원장도 “해당 직원들이 준용씨 관련 사안을 국회에 알렸고, 이후 국회에서도 문제가 불거진 걸로 안다”면서도 “해당 합의는 준용씨 채용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송경화 박태우 기자 freehw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