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당 운영위원회를 통과한 혁신안 개정안의 대통령 및 시도지사 후보 선출 규정을 손질하라는 비주류와 소장파의 요구를 수용했다. 이에 따라 혁신안을 둘러싼 당 내분은 수습 국면에 들어갔다.
박 대표는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마무리발언에서, “나도 개인적으로는 혁신안을 그대로 받자는 의견이었다”며 “원안을 수용하는 큰 틀에서 절차를 밟아, 17일 당원대표자 대회에서 혁신안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의총에선 “혁신안 원안대로 대선후보 선출 선거인단의 당원 대 비당원 비율을 5 대 5로 하자”는 의견이 우세했다.
혁신안 원안은 대선 후보 및 광역단체장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을 △전당대회 출석 대의원(책임당원) 20% △당원 선거인단 30% △일반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로 구성했다. 그러나 당 운영위를 거치면서 ‘당원 선거인단 30%’가 ‘책임당원 30%’로 바뀌고 ‘일반 국민선거인단 30%’에도 책임당원과 당원이 응모할 수 있도록 수정돼, 사실상 책임당원이 전체 선거인단의 80%까지 차지할 수 있는 ‘국민 배제 경선’이라는 비판에 부닥쳤다.
혁신안 원안이 채택되면 당원 선거인단에는 책임당원뿐 아니라 일반당원도 포함되며, 일반 국민선거인단에는 당원이 배제된다.
3시간여 동안 진행된 의총에서는 홍준표 혁신위원장을 비롯해 안상수·심재철·전재희·정의화·박계동·윤건영·고진화·최구식 의원 등 대부분의 발언자들이 혁신안 원안을 지지했다.
박용현 기자 pia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