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일부 “야당 목소리 못내” 불만
‘발목잡기’ 프레임 갇히면 호남 흔들
‘발목잡기’ 프레임 갇히면 호남 흔들
국민의당은 31일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과정에서 “대승적 차원의 협조”에 앞장서며 국회 본회의 통과를 이끌어냈다. 문재인 정부의 ‘호남 총리’ 카드 앞에서 여당과 발을 맞췄지만, 향후 행보에선 과제를 안게 됐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는 국민의당 전체 의원 40명 가운데 김종회 의원을 제외한 39명이 출석했다. 본회의 표결 참석 의원 188명의 과반인 95명의 찬성만 얻으면 인준안이 통과되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의원 118명만으로도 이낙연 후보자 임명동의안 통과는 가능했다. 하지만 국민의당 의원 다수는 찬성표를 던져 무난한 통과에 기여했다. 특히 국민의당은 지난 29일 선제적으로 ‘협조’ 방침을 정하며 다른 야당의 ‘전의’에 타격을 입혔고 결국 인준안 통과로 원내 분위기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이낙연 통과 이후’에 머리가 복잡한 모습이다. 인준 과정에서 일부 초선 의원은 지도부를 포함한 호남 중진 의원들의 뜻대로 당 방침이 결정된 데 불만을 드러냈다. 야당으로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당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기조와 대체로 유사한 국민의당이 계속 협조 일변도로 나갈 경우 존재감을 잃은 채 흡수론에 시달릴 수 있다는 위기감과, 야당 역할을 앞세워 반대할 경우 ‘발목잡기’ 프레임에 갇혀 당 기반인 호남의 지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공존한다.
국민의당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등 다음 국면에서는 ‘야성’을 보이겠다는 방침이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본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총리가 조기에 인준이 안 돼서 문재인 정부 초기 내각이 출범하지 않을 경우 국정 혼란으로 인해 국민이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니 대승적으로 협조했다”며 “그러나 개별 장관 문제는 정말 법과 원칙에 입각해서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