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우원식 원내대표가 28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촛불집회 1주년 기념대회에 참석해 촛불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끌고 문재인 정부 출범의 도화선이 된 촛불집회 1주년을 기념하는 집회가 열린 28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도 참석했다. 이들은 촛불의 뜻을 되새기며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을 다짐했다.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들을 만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민이 이게 나라냐, 나라를 바로 세우자는 마음으로 촛불을 들어주셨다”며 “새정부가 과거의 적폐를 하나씩 일소하면서 새로운 틀을 잡아가고 있다. 위대한 역사를 쓸 수 있는 기회를 준 대한민국 국민에게 무한한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촛불 1주년 소회를 밝혔다. 추 대표는 “국민의 여망에 따라 정권교체가 이뤄졌다. 과거의 잘못된 것을 고치지 않으면 새로운 미래 건설이 어렵다는 것이 국민의 뜻이 아니겠나. 서로 협치를 해가면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했다. 추 대표는 ‘적폐청산’을 ‘정치보복’이라고 하는 보수야당의 주장에 대해 “과거의 눈에 머물지 말고, 과거를 바라보는 것을 '정치보복'이라고 우기지 말아야 한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다음 세대에 물려줘야 한다는 각오로 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우원식 원내대표는 “국정농단 세력은 감옥에 갔고, 국민이 요구하는 평화적 정권교체가 이뤄져서 새로운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해나가기 시작한 것이 큰 변화다. 촛불혁명에 함께 힘을 모아주신 국민에게 감사하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국회 보이콧’ 중인 자유한국당을 겨냥해 “국회를 파행으로 이끄는 세력이 있고, 그래서 아주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적폐청산은) 반드시 해내야 한다. 오늘 다시 1년 전의 그 마음으로 와서 큰 힘을 얻고, 또 국민의 요구를 다시 한 번 새기면서 그 일을 추진해가고자 하는 마음”이라고 다짐했다. 민주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도 참석해 시민들과 자리를 함께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벌써 촛불혁명 1주년”이라며 “촛불혁명을 통해 민주주의를 지켜내셨던 국민께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을 배신한 대통령을 탄핵했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지만 사회변혁의 열망은 여전하다”고 적었다. 안 대표는 적폐청산과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와 여당인 민주당을 겨냥한듯 “변화의 방향과 속도에 공감이 부족하다. 촛불의 정신을 독점하려하고 독선으로 내달리는 세력 때문이다. 나라의 안보는 불안하고 사회는 갈등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안 대표는 이어 “촛불은 변혁이면서 화합이어야한다. 어느 누구도 독점할 수 없는 국민의 마음이자 민주주의, 사회변혁의 동력”이라고 썼다. 안 대표는 끝으로 “촛불시위 초반에 가장 먼저 탄핵을 당론으로 정하고 헌신했던 국민의당이다. 그 때의 그 마음으로 촛불혁명을 완수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각각 논평을 통해 촛불 1주년을 맞아 촛불 정신 계승과 국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촛불 1년, 국회는 입법과 제도개혁으로 촛불민심에 답해야 한다’는 논평을 발표했다. 김효은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지난 1년, 광화문에서 촛불을 든 국민들이나 그렇지 않은 국민들 모두 새로운 대한민국을 갈망했다”며 “이제는 국회가 국민들에게 화답할 차례”라고 밝혔다. 김 부대변인은 “광장 민주주의의 요구에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가 정기국회에서 민생법안과 예산으로 국민들에게 부응해야 한다”며 “민심 역주행 자유한국당은 대한민국 곳곳에 뿌려놓은 적폐의 씨앗과 열매를 청산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나라 건설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은 ‘촛불 1주년, 포용과 협치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는 논평을 냈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의당은 특권·반칙·부정의에 대항한 국민의 목소리를 잊지 않고, 촛불 민주주의 정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손 수석대변인은 ‘국회 보이콧’ 중인 자유한국당을 겨냥해 “국민은 촛불을 밝혀 민주주의를 세웠는데, 국회는 파행 중이다. 국회가 분열에 앞장서는 것은 옳지 않다”며 “자유한국당의 의사일정 참여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를 향해서도 “정부 역시 반대의 목소리도 포용하고 협치를 위한 길을 더 열어줄 것을 촉구한다. 반대의 목소리도 국민”이라고 밝혔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