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KBS)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방송3사 초청 후보자 토론회에 참석한 정문헌(왼쪽부터)·유승민·박유근·하태경 후보가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정당의 ‘통합파’ 의원 9명이 탈당을 선언한 6일,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은 “몇 명이 남더라도 우리가 가고자 했던 길로 계속 가겠다는 마음에 변함없다”며 ‘독자 노선’을 분명히 했다. 유 의원은 이날 소속 의원들의 탈당 선언 뒤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끝까지 우리가 추구한 개혁 보수의 길, 그 초심을 끝까지 같이 못 해서 대단히 안타깝고 서운하게 생각한다”면서도 “(남은) 11명의 의원과 당협위원장 가운데 당을 지킨다는 분들, 그리고 당 사무처의 남은 식구들이 최대한 마음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특히 이번 탈당에 앞장선 김무성 의원에 대해 ‘복잡한’ 속내를 드러내기도 했다. 유 의원은 김 의원에 대한 소회를 묻는 질문에 “지난해 같이 (새누리당) 탈당을 할 때 저는 새누리당에 남아서 끝까지 개혁을 했던 사람이고 지금 탈당하신 분들이 이제 제일 먼저 탈당하신 분들”이라고 꼬집었다. 유 의원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남은 사람들이 당을 지키고 최대한 많이 남을 수 있도록 설득 중”이라며 “사무처 식구들도 최대한 설득해서 같이 당을 지키자고 호소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바른정당이 오는 13일 독자적인 전당대회를 ‘예정대로’ 치르기로 하면서, 자유한국당과의 통합전당대회를 주장했던 남경필 경기지사 등과의 균열이 감지된다. 일단 외형상으로는 ‘자강파’ 11명만 남은 셈이지만, 당의 진로를 둘러싼 인식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추가 탈당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애초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했던 정운천·박인숙 의원은 이날 오전 “자유한국당과 당 대 당, 당당한 통합을 원하고 우리들의 사퇴로 바른정당이 단합되는 계기를 마련했으면 한다”며 대표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실제 일부 의원들은 탈당 시기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유 의원은 이날 오후 예정대로 진행된 방송 3사 초청 당대표 경선 3차 토론회에서 “남은 열한분도 마음이 흔들린다는 이야기가 들린다”며 “하지만 저희는 남아서 죽기 살기로 해보겠다. 다음 선거에서 누가 약속과 원칙, 가치를 지켰는지 국민 여러분이 판단해달라”고 말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