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특성화고 실습생 고 이민호 군 추모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고3 현장실습생 이민호군의 죽음과 관련해, 정치권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현장실습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주 금요일 이민호군이 사고를 당한 음료제조 공장에 대한 현장조사를 진행했는데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며 “현장실습생인 이 군이 회사 측의 요구로 생산라인 하나를 혼자서 책임져야 했고, 초과근무를 밥먹듯이 해야해서 보통 12시간이 넘게 일을 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교육부와 노동부 등 관계 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을 촉구하며, “입법 등 제도개선을 위해 관련 상임위 개최 등을 즉각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장실습 제도와 관련해 “학생을 업체에 파견하는 조기취업형태의 현장실습제도는 폐지에 준하는 전면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 학생의 학습권 보호와 건강한 직업과 형성이라는 애초의 제도 도입의 취지를 달성할 수 있는 현장실습제도로 재설계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자유한국당은 앞으로 입법 과정에서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현장실습과 관련한 법령 정비 등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도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지난 금요일 제주 이민호군 빈소에서 만난 이군의 부모님에게 정치하는 사람으로서 죄송하다는 말밖에 드릴 게 없었고, 정말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이어 “현장을 점검하고, 전문가들을 만나고, 특성화고 권리위원회 같은 학생들까지 만나 의견을 듣고 하루 속히 대책을 마련해 정부에 촉구하고, 우리 당이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