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오른쪽)가 정우택 원내대표와 함께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는 이종혁 최고위원을 바라보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사당화’ 반발이 거세지자 한동안 침묵을 지켰던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다음 원내대표가 되면 원내 일에도 관여하겠다”고 침묵을 깼다. 이번 예산안 잠정 합의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홍 대표는 5일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해 이번 예산안에 대한 자유한국당의 본회의 표결 전략을 묻는 질문에 “지금 원내대표는 제가 당대표가 되기 전 원내대표를 해, 기본 당론 정하는 외에 관여 안 했다. 이번 예산안에도 관여 않는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또 “제가 원내 일 관여하면 그런 일(한국당 패싱)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탄핵당하고 대선 패배하고 내부 정비중이어서 연말까지는 당 내부 재건에 주력하는 것이 맞다. 그 뒤에 직접 원내 관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원내대표선거가 소위 ‘잔박’ 청산을 통한 당 내부정비의 일환임을 강조하고, 앞으로의 강경한 대여투쟁 방침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홍 대표는 서청원·최경원 제명 문제에 대해선 “의원들에게 동료 의원 제명 요구는 가혹하다. 서청원·최경환은 자연소멸절차로 가고 있다”고 말하며 유보적 입장을 나타냈다.
홍 대표는 이후 원내 관여 방침에 대해 다시 기자들이 묻자 “(원내대표와) 같이 하겠다는 뜻”이라고 부연했고, 원내대표로 염두에 둔 인물이 따로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그런 이야기하면 싸움 난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홍 대표는 이날 기조발언을 통해 “정부 여당이 ‘친북’ 말만 하면 알레르기를 보이면서, 이런 행태(국정원 개혁)를 하니 ‘주사파 정권’ 소리까지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질의 때도 “이게 새 정부 출범 뒤 금기사항이지만, 전대협 주사파들이 청와대 장악하고, 대통령 의사결정을 그분들이 거의 주도하지 않느냐?”고 거듭 주장했다. 그는 “이런 이야기를 하면 공안 통치 시절 색깔론이라고 거꾸로 공격하는데 이해를 못하겠다”며 “자신없으면 전대협서 전향했고 친북좌파가 아니라고 선언하라”고 말했다.
발언에 품격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선 “어떤 말을 해서 품격이 없다고 하는지 지적해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암이 보통명사인데, 암덩어리를 뭐라고 표현해야 하냐. 암덩어리님이라고 하면 좋겠냐”며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검사 하고, (도)지사 2번에 대통령 후보까지 했는데 품격 운운은 어이가 없다. 흠잡을 게 없으니 품격까지 흠잡는다”며 “내 본질이 그것밖에 안 된다. 본질을 숨기면 죽을 때가 된 것인데, 아직 죽을 때가 되지 않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홍 대표는 원내대표선거를 앞두고 일부 친박계 의원들이 ‘홍준표 사당화’ 등을 거론하자, 친박계를 겨냥해 ‘암덩어리’ ‘고름’ 등으로 비난하며 날카롭게 대립했다. 논란이 커지면서, 친박계를 비롯해 중립지대를 표방한 의원들도 홍 대표의 당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 당 ‘내홍’ 우려가 커졌다. 이에 홍 대표는 지난 28일 이후 페이스북을 자제하며 한동안 원내대표 선거 등에 대한 공개적인 언급을 꺼려 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