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당적 등 전당대회 문제점 나오자 당헌 개정
5일 전당원투표로 바른정당과 통합 결정하기로
안철수 “통합뒤 대표직 사퇴”
반대파 “전대 어렵게되자 꼼수”
5일 전당원투표로 바른정당과 통합 결정하기로
안철수 “통합뒤 대표직 사퇴”
반대파 “전대 어렵게되자 꼼수”
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의 통합 여부를 묻기 위한 2월4일 전당대회를 취소하고 전당원투표와 당 중앙위 의결로 대체하기로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중재파 호남 의원들의 합류를 설득하는 차원에서 2월13일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완료한 뒤 당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31일 오후 당무위를 열어 전당원투표 대상에 ‘전당대회를 개최하기 어려운 상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당의 합당과 해산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고, 역시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 중앙위가 전당대회의 기능과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당헌 개정안을 발의하기로 했다. 전당대회 준비위가 전날 통합 반대파의 대표당원에 대한 당비 대납과, 반대파가 추진하는 민주평화당과 국민의당 사이 ‘이중당적’ 당원의 문제가 드러났다며 “전당대회를 정상적으로 치를 수 없다”고 밝힌 데 대한 대책이다. 이에 일정을 연기하기보다는 최고대의기관인 전당대회의 역할을 그 하위 수임기관인 중앙위에 넘기는 ‘우회로’를 택한 것이다. 국민의당은 이런 방식이 가능하도록 오는 4일 중앙위에서 당헌 개정을 완료하고, 5일 전당원투표를 한 뒤 11일 다시 중앙위를 열어 결과를 추인할 계획이다. 국민의당은 설 연휴 전인 2월13일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애초 통합 반대파의 반발을 무릅쓰고 당규 개정을 통해 추진한 전당대회를 불과 나흘 전에 취소하고 거듭된 ‘룰’ 변경을 통해 전당원투표 등으로 대체하면서 “통합을 밀어붙이기 위한 무리수”라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평화당 창당준비위 장정숙 대변인은 “당의 운명을 전당대회가 아닌 전당원투표로 ‘날치기’하겠다는 것은 정당법과 당헌, 당규를 위반해 원천무효”라고 주장했다. 이에 안 대표는 “우리가 지금까지 진행하는 것에 법적 하자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이날 오전 열린 당 최고위에서 “중재에 애써주신 분들이 함께해준다면 신당이 창당되는 2월13일 통합을 완결시키고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중재파마저 이탈할 경우 국민의당의 호남 기반이 무너져 바른정당과의 합당을 통한 ‘영호남 결합’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대응책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이 통합 찬성파(17명)와 반대파(17명)로 쪼개진 가운데, 호남의 박주선·김동철·주승용·황주홍·이용호 의원 등 중재파 의원 5명은 “안 대표가 대표에서 물러나야 통합에 협조할 수 있다”고 촉구한 바 있다. 중재파 의원들은 1일 최종 입장을 정하겠다고 밝혔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무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송경화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