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배숙 민주평화당 창당준비위원장(현 민주평화당 대표)이 지난달 2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중앙운영위원회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어제 당무위원회 의결로 자신들에게 당원권 정지 등의 징계를 결정한 것을 비판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민주평화당이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내부 논의에 들어갔다. 민평당은 늦어도 다음달 초까지 의원들의 총의를 모은 뒤 정의당에 이를 공식 제안할 계획이다. 정의당은 판단을 유보하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민평당 국회의원·최고위원 연석회의에서는 이용주 의원이 작성한 민평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따른 검토사항 문건이 배포됐다. 이 의원은 이 문건에서 “현재 교섭단체 구도상 진보 대 보수가 1 대 2라는 것을 감안할 때 진보진영이라고 할 수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협상력이 약화하는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보수 진영 위주의 국회 운영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민평당과 정의당 간 ‘교섭단체 구성’을 제안했다. 현재 민평당은 14석, 정의당은 6석의 의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당이 합의하면 교섭단체 요건(20석)이 충족된다. 교섭단체가 되면 국회 상임위·특위에서 간사로 지정돼 의사진행 협의에 참여하는 등 국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확보하게 된다. 앞서 2008년 18대 총선 이후 자유선진당(18석)과 창조한국당(2석)이 ‘선진과 창조의 모임’이라는 공동교섭단체를 운영한 전례가 있다.
민평당 의원 다수는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적극적이다. 이용주 원내대변인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개헌과 선거구제 개편을 위해 민평당과 정의당의 입장을 국회에서 온전히 반영시킬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이 공동교섭단체 구성이기 때문에 논의를 하게 됐다”며 “의원 한두 분이 반대하고 있지만 설득할 계획이며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초에는 당론으로 정의당에 교섭단체 구성을 제안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정의당은 “제안이 오면 판단해보겠다”는 게 공식 반응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민평당과의 교섭단체 구성이 쉽지 않을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의당의 한 당직자는 “교섭단체 구성이 합당은 아니지만 뿌리가 다르고 정체성이 다른 민평당과 연대하자고,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당원들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다”며 “개헌과 선거구제 개편을 위해 민평당과 함께하는 베팅을 할 수도 있겠지만 그 누구도 선뜻 앞장서서 말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